청춘인문학 - 우리 시대 청춘을 위한 진실한 대답
정지우 지음 / 이경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청춘 예찬론은 이제 끝났다.

지금 청춘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현실을 똑바로 인식하고 그 속에 존재하는 자기 자신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다. 사회적 구조와 개인이 긴밀하게 얽힌 그 좁은 통로에 우리의 청춘이 존재한다. 청춘은 원리만 파고들어 갈 것이 아니라, 현상 자체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법이다. 《청춘 인문학》은 말한다. "우리의 현실이 오직 우리의 주변 세계뿐이라고 말하기에는, 우리가 실제로 출퇴근하며 살아가고 있는 사회, 텔레비전과 신문에서 매일같이 접하는 저 커다란 전체 세계는 우리에 끊임없이 '침투'해 들어와 우리를 구성한다. 결국 우리에게 유일하게 남아 있던 '주변세계'라는 '현실'도 저 바깥의 거대한 비현실성의 세계에 밀려나 그 자리를 잃어버리게 된다." (.109) 이 책은 우리 시대 청춘의 양극화 현상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나아가 청춘을 둘러싼 사회적 구조와 그에 대처하는 청춘의 이중성에 대하여 논한다. 이러한 현상을 어떤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제시하기도 한다. 기존의 청춘 예찬론을 이야기하는 책과는 뚜렷한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청춘에게 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나는 당신이 청춘이라는 사실에 의혹을 제기한다.

세상을 침범하느냐, 세상의 공격을 받느냐에 따라 청춘의 미래가 결정되는 것인가. 저자는 청춘에게 사유와 사색을 요구한다. 청춘, 당신은 지금 누구인가? 나아가 당신의 주제적 존재로서 세상과 자신을 어떻게 연결하고 있는가? 현상에 지배당하고 있는지, 혹 현상으로부터 벗어나 독자적인 길을 걷고 있는지에 대하여 묻는다. 청춘, 당신의 마음을 지배하는 허영심과 시기 그리고 질투심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러한 현상을 해석하는 관점에는 어떤 학문의 특성을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책은 청춘과 인문학을 미묘하게 접목하지 않았으나, 내용의 깊이에 대하여 생각해보면 결국, 청춘과 인문학은 하나로 통일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의 종말론, 잉여의 존재를 자처하는 청춘의 모습, 정신분석과 실존주의 그리고 진화심리학에 이르기까지 '청춘'의 입장에서 본 세상, 청춘을 바라보는 '세상'에 대하여 말하는 《청춘 인문학》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논리적 사고가 자극받고 있음을 느꼈다. 저자는 특정 주제를 논하거나 자신의 입장만을 고수하지 않았다. 하나의 관점과 방식 그리고 가능성에 대하여 말하고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현대와 청춘의 관계성에 대하여 생각하게 한다. 저자는 삶의 복권을 재차 강조하면서 우리 시대 청춘이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인생론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어떤 철학적 사고를 요구하는 내용은 아니나, 청춘 인문학》은 저자의 통찰력이 돋보이는 내용으로 가득하여 현대인이라면 꼭 한번 쯤은 읽어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주제의 간결성에 비해 내용은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우리를 논리와 사색의 정점으로 이끈다. 기회가 된다면 꼭 읽어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