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대의 신화 - 현대 소설 속 종교적 인간의 이야기
유요한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이 무신론자임을 강조하는 사람일지라도 신봉심마저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인간은 자신의 믿음이 향하는 존재의 유무에 따라서 삶이 변화한다고 생각한다. 무언가를 섬긴다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을 섬기는 것과 같다. 때로 그 적정선을 넘어서 특정대상을 향한 집요한 갈구와 매달림이 신봉의 의미를, 또는 자기 자신을 피폐하게 만들기도 한다. 인간 세상에서 숭배와 염원의 영적 행위로서 존재하는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는 인간의 내재된 욕망에 의해 그 양면성이 두드러지기 마련이다. 문득 그런 생각을 해본다. 이는 결국 종교를 인용하는 삶, 종교로 둔갑한 극악무도한 삶, 종교를 위해 존재하는 삶이 현실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그런 삶이 존재할수록 종교의 힘은 늘어날 것이며, 이것은 곧 그러한 종교에 신봉하는 인간이 증가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인간과 종교. 종교는 지금 어떤 형태로서 인간의 삶에 존재하는가. 종교적 관점에서 인간을 해석한다면 어떤 정의가 내려질 수 있을까.

 

「우리는 종교가 과거를 통제하는 힘을 발휘한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죄나 부정등 종교적 지침에 어긋나는 과거의 일들을 속죄나 정화 등의 의례를 통해 없는 것으로 만들기도 하고,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 신화적 이야기도 종교적 인간에게 진실로 받아들여진다.」- 본문 중에서

 

 

「『1Q84』는 매우 복잡하게 뒤얽힌 방식으로 인간의 종교적인 면모들과 여러 종교적 세계관에 대해 뛰어난 통찰을 보여준다. 주인공들이 종교학자를 직접 인용하여 설명하는 것을 보면, 저자 하루키의 종교학에 대한 이해도 상당한 듯하다. …… 나는 이 장에서 『1Q84』의 방대한 분량을 모두 검토하며 종교적 요소들을 가능한 한 많이 찾아내고자 하지 않겠다. 대신, 『1Q84』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종교적인 면들을 검토하여, 인간이 지향하는 바의 표상으로서의 종교와 성스러운 존재의 경험으로서의 종교가 이 책 속에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본문 중에서

 

 

 

<우리 시대의 신화>는 현대 소설에 등장하는 종교적 인간관을 찾아보았다. 왜 하필이면 소설을 통해서 찾아야만 했을까. 소설이 시대와 인간의 사상을 거스름 없이 반영하고 있음을 전제로 하기 때문인가. 조지 오웰 『1984』, 윤태호 『이끼』, 무라카미 하루키 『1Q84』, 코맥 매카시 『로드』, 헤르타 뮐러 『숨그네』, 스테프니 메이어 『트와일라잇』, 밀란 쿤데라 『불멸』, 윤대녕 『천지간』에 이르기까지 <우리 시대의 신화>는 현대 소설 속 종교적 인간의 삶을 통해서 종교와 신화의 기원에 대하여 말한다. 문학작품에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는 인간의 모습, 그 속에는 종교적 성찰을 향한 인간의 내적 아우라, 그리고 종교의 상징성을 대변하는 인간의 신봉과 신앙적 삶이 깊숙이 내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저자는 "종교학적 관점에서 작품을 읽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한다. 이것이 문학작품을 해석하는데 유용하고도 유일한 독해법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지라도.

 

종교에 의한 것이라는 관점을 떠나서 현실의 인간 혹 소설의 인간이 보여주는 삶은 결국 무언가를 염원함으로써 존재한다는 것, 그것은 곧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 방식이 될 수도 있음을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문학작품을 해석함에 있어 시대와 관습 그리고 인간과 종교는 필히 고려되어야만 하는 근본조건이다. 그 안에는 역사적, 사회적, 자연적, 과학적, 심리적 관점에 이르는 다양한 관점이 세부적으로 존재할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종교와 문학이 만나는 자리를 스스로 확인하며, 종교학적 관점을 이용하여 더 다양하고 깊이 있는 생각들을 발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한다. 현대 소설 속 종교적 인간을 찾아가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읽어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