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한 심리학 - 생활 속의 심리처방
와타나베 요시유키 & 사토 타츠야 지음, 정경진 옮김 / 베이직북스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이 세상에서 우리에게 가장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이 있다면 아마도 '인간' 그 자체가 아닐까. 나도 인간으로서 내 진짜 마음을 헤아릴 수 없었던 날이 얼마나 많았는지 모른다. 변덕이 심했던 걸까. 고집이 세서, 자기주장이 너무 강해서였을까. 나는 내가 봐도 못된 심보를 가진 인간이다. 그래서 이기적이라는 말도 많이 들어봤다. 어쩌면 나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 그렇게 행동했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심리학 저서를 끊임없이 읽는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나'를 똑바로 알기 위해서, '나와 너'의 관계 개선을 위함이었다.

 

심리분석에서 발견되는 우리의 표정, 말과 행동 그를 통하여 나와 너를 알아가는 것

사람이 기분이 나쁘면 이런 행동을 하고 행복하면 이렇게 웃는다더라. 그래서 저 사람은 지금 매우 슬프고, 그 사람은 몹시 힘들었나보다. 우리는 이렇게 얼핏 주워들은 심리학의 작은 상식을 통해서 사람 유형을 분석하기에 이른다. 항상 확률은 50대 50이다.

누군가로부터 '안 좋은 일 있으시죠? 안색이 좀…'이라는 말을 들으면, 진짜 아무 일이 없었음에도 괜히 '내 표정이 이상한가?'라는 생각과 함께 진짜 기분이 안 좋아지는 것, 그게 인간의 심리라고 생각한다. 이번에 읽은 <유쾌한 심리학>은 사실 특별하고 획기적인 내용은 발견하지 못했다. 이 책은 인간의 '성격', '관계', '의욕'을 아우르는 현대인에게 필요한 실용적인 심리를 주로 다루고 있다.

 

 





 


「'심리학을 배운다' 는 것은 다른 학문처럼 '지식' 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학적인 견해' 를 몸에 익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심리학에 접근하면 자신의 마음이나 행동이 지금까지와는 꽤 다르게 보일뿐더러 일상적인 고민이나 행동상의 문제를 풀 수 있는 의외의 해결책이나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이다.」- 본문 중에서

 

<유쾌한 심리학>'왜 우리가 심리학을 알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다. 전투적인 자세로 인간관계에 임하라는 뜻은 절대 아니나, 현대인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관계 맺기'와 '관계유지'이다. 때로는 누군가와의 관계를 정리해야 할 순간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학교에서 인간관계의 기술에 대한 수업을 받은 적이 없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좋고 싫은 감정이 생기려면 일단 상대와 어떤 식으로든 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태어날 때부터 그 사람이 싫다거나 전에 만난 적도 없는 사람인데 보자마자 좋아지는 일은 없다. 즉, 우리는 타인과 만나고 관계를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 그 사람에 대한 플러스 정서나 마이너스 정서를 키워가는 것이다."라고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책이 말한 바와 같이 '일단 부딪혀보는 것'에 도전해야 한다. 그리고 도전하기에 앞서서 '인간의 심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사람을 만나는 것에도 '기술'이 필요한 법. 외모에서 풍기는 분위기나 느낌을 통해서 사람 됨됨이를 추측할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소통의 신호를 재빨리 낚아채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게 이 책이 말하는 핵심이라 생각된다. 혹시 아직도 혈액형을 운운하며 사람의 성격을 판단하는 버릇을 가지고 있다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났어도 궁합이 안 좋게 나왔다고 이별을 결심한 사람이 있다면 <유쾌한 심리학>을 꼭 읽어보기를 바란다.

 

 



 



 


「궁합이란 운명처럼 정해진 것이 절대 아니다. 자신의 불안과 고통을 덜고, 자신에게 불리한 상황이나 감정을 합리화하기 위해 생각해낸 편리한 도구일 뿐이다. 따라서 궁합을 적절히 이용하되 거기에 연연하거나 휘둘리지는 말아야 한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는 궁합이 아니라 행동, 상황, 의욕, 예전의 경험 등 실로 다양한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서 결정되는 것이다.」- 본문 중에서

 

때로는 직감에 의해 내린 결정으로 큰 수확을 거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누군가는 '밑져야 본전'이란 믿음에 의지해 살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직감', '직관' 그 자체는 타인을 배제한 사적인 영역에서 스스로 내린 것임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심리학'을 반드시 배워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자의 말마따나 '심리학을 몸에 익히는 법'을 지금부터라도 알아간다면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나와 너' 그리고 '우리'라는 소속감이 더욱 탄탄해질 것, 그리고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깨닫게 될 것이다.

<유쾌한 심리학>은 '생활 속의 심리처방'을 중심으로 실용적인 정보가 가득한 책이다. 기회가 되면 읽어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