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미친 바보 - 이덕무 산문집, 개정판
이덕무 지음, 권정원 옮김, 김영진 그림 / 미다스북스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물을 물이라 생각하고 마시니 비로소 물임을 알게 되었고, 바람을 바람이라 생각하고 맞이하니, 그제야 나 자신이 바람을 몸으로 대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나에게 다가오는 모든 진귀한 현상을 존재하는 그대로 마주하는 시간이 찾아오다니……. 나를 나답게 만드는 것은 먼 곳에 있지 않았다. 천지에 만물이라 일컫는 모든 존재가 반쯤 채워진 미물이 되어 진화의 과정을 거치듯, 내 삶도 나라는 것이 주인이 되어 지금의 모습까지 키워낼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책'의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내가 살아온 이야기를 함에 있어 책을 빼놓는다면 아마 혼이 빠진 허상의 껍데기와 마주하는 것과 다를 게 무엇있으랴. 나에게 책이 없다면 사방팔방으로 날뛰는 정신을 잡을 수 없을 것이다. 책을 책으로서 대하는 법을 제대로 배워야 책다운 책을 찾아낼 수 있을텐데 말이다.

 


「"꿀벌은 꿀을 만들 때 꽃을 가리지 않는다. 만약 꽃을 가린다면 꿀벌은 결코 꿀을 만들지 못할 것이다. 시를 짓는 것도 이와 같다. 천지의 재주와 지혜가 뛰어나고, 사리와 도리에 밝은 기운은 예나 지금이나 조금도 다르지 않다. 그 가운데 뛰어난 글귀를 뽑아서 내 창자를 씻고자 한다"」- 본문 중에서


 

 



 

 



 

 

 

아주 오래 전에 내가 머무는 공간을 살다간 지성인을 만났다. 그의 이름은 이덕무, 조선 후기의 실학자, 문인이었던 이덕무와의 만남은 찰나의 섬광처럼 짧고 강렬했다. 그 여운을 잊을 수 없어서 나는 계속 반쯤 감은 눈으로 회상하고 있다. 옷깃을 한번 스쳐도 그것이 인연이었음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 애석하여, 책을 대하는 그의 몸과 마음은 한번으로 그치지 아니하고 수백번을 거쳐서 빛바랜 고서로 탐독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스스로를 말하되, '말씨는 어눌하고, 성품은 졸렬하고 게을러 세상일을 알지 못했으며, 바둑이나 장기 같은 잡기는 더더욱 알지 못했다. 남들이 욕을 하여도 변명하지 않았고, 칭찬을 하여도 잘난 척하지 않았으며, 오직 책 보는 일만을 즐거움으로 삼았기에 춥거나 덥거나 배고프거나 병드는 것에도 전혀 아랑곳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는 그였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문장 하나를 가슴속에 담고 있다

그는 간서치였을까. 책으로서 소통하는 이덕무의 가슴 속에는 무엇이 자라고 있었을까. 자신을 다스리기 위하여 삶의 지침서를 직접 작성하여 가까운 곳에 붙여놓고 생활한 이덕무였다. 모름지기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좋은 문장을 찾는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글을 쓰기에 앞서 인간 본연의 심성을 절도있게 지킬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진실된 마음으로 어버이를 섬기는 자가 천지를 울리는 문장을 남길 수 있다고 말이다. 그 말은 즉, 자신에게 정직하지 않은 자가 어찌 만인을 위한 글을 쓸 수 있단 말인가?와 같은 것이리라.

 

 



 

 


「정성으로 효를 다하면 온갖 행실이 저절로 갖추어지고, 온갖 행실이 갖춰짐을 드러내면 그대로 문장이 된다. 그래야 문장이 화평한 기운을 띠게 되어 즐겁고 맑고 고요하며, 그 글을 읽는 사람에게도 선한 마음이 자라난다. 만약 재능과 문장을 앞세우고 행실을 뒤로 미룬다면, 비록 글 솜씨가 아무리 맑고 아름답고 논리 정연하더라도 이는 올바른 것이 아니기에 읽는 사람을 감동시킬 수 없다.」- 본문 중에서


 

 <책에 미친 바보>에 수록된 이덕무의 글은 읽음과 동시에 눈앞에 그 웅장함이 또렷하게 그려지는 듯했다. 이덕무가 여생을 보낸 조선 시대의 영향도 가볍게 넘길 수는 없을 것이다. 자신의 박학다식함을 내면에 내려놓고 자연을 벗삼아 스스로 정립한 이치에 어긋나지 않는 정도를 지키며 살았던 이덕무. 그는 자신의 말을 들어줄 벗은 없을지라도, 자신이 평생을 다하여 모든 걸 들어줄 수 있는 책이 있다면 결코 외롭지 않다고 말했다. 이 책에는 간간이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도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이덕무의 조카인 '심계 이광석'에게 보낸 편지 내용에는 이덕무가 스스로 정립한 '책'과 '문학'을 향한 사상과 깨달음이 담겨있어서 유익한 부분이었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문인, 지성인으로서 자신의 본분을 지키며 살다간 이덕무, <책에 미친 바보>를 읽은 지금 이 시점에 나는 '책'을 대하는 마음가짐을 반성하게 되었다. 때로는 읽어도 읽었다는 생각을 할 수 없었던 순간이 있었다. 책에 지배된 생활을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나, 내가 스스로 만든 속박의 굴레에서 책과 씨름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에 대해서 반성해본다.

이 책을 읽게 되어 정말 다행이다. 하반기 독서계획은 이덕무의 가르침을 본받아 더욱 절도있게 체계적으로 세워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