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첫 번째 선생님 - 1등을 강요하는 대신 방법을 알려줘라
전상희 지음 / 맘에드림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자녀의 미래가 달라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세상과의 낯선 대면을 하게 되는 아이에게 부모의 역할은 정말 중요하다. 얼마 전 EBS에서 방영된 '아기 성장 보고서'라는 프로그램을 보면서 느낀 바가 참 많았다. 엄마의 뱃속에서 세상을 향해 힘찬 발돋움을 하는 태아의 모습과 아직 눈도 뜨지 못하는 상황에서 엄마의 모유를 향해 본능적으로 고개를 돌리는 모습은 보는 이로 하여금 가슴이 뭉클해지고 훈훈함을 선사하였다. 그렇다. 아이에게 있어 엄마는 자신을 낳아서 길러주는 최초의 선생님인 것이다. 흔히들 모방학습이라는 말을 하는데, 이는 엄마와 아이의 관계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되는 학습방법 중의 하나다. 부모의 말과 사소한 행동 하나까지도 아이는 은연중에 똑같이 따라 하게 되는 것, 심지어 부모의 식생활습관도 아이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편식이 심한 부모의 모습을 보고 아이도 덩달아 반찬을 가려서 먹게 되는 것이다. 이제 부모의 역할, 더 나아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은 엄마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아이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를 논하기 전에 엄마로서 꼭 지녀야 할 자질에 대하여 점검해야 한다.

 

 

 



 

 

<엄마는 첫 번째 선생님>은 첫 아이를 출산하여 키우는 초보엄마, 자녀와의 진솔한 소통이 힘든 엄마, 학교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아이를 위해서 조금이라도 체계적인 학습법을 익히도록 돕고 싶은 엄마라면 꼭 읽어보았으면 좋겠다.

 


「본격적인 내용에 들어가기에 앞서 분명히 해둘 것이 있습니다. 아이의 잠재성에 대한 믿음과 부모의 기대, 욕심을 분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아이가 타고난 모습 그대로를 알고, 타고난 모습이 최대로 발현되는 상태를 그려볼 줄 알아야 합니다. 없는 것을 넣어주는 것이 아닌, 있는 것을 키워주는 것이 바로 부모의 역할입니다.」p.8

 

이 책은 아이에게 최초의 교사는 엄마라고 말한다. 그래서 모든 교육은 가정에서 시작한다고 보는 것이다. 일찍이 코메니우스는 그의 저서 「대교 수학」에서 "인간의 교육은 어릴 때에 가장 잘 이루어지며, 그래야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말과 함께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리하여 6세까지는 '모친학교'라고 명명된 어머니의 무릎 위에서 가정교육을 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세상의 모든 엄마에게 너무나 큰 책임감을 짊어지게 만든 셈인가? 물론, 아빠와 엄마의 역할을 고려하여 자녀교육에 더욱 체계적인 학습전략을 구상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무엇이든지 부모들이 가르쳐주지 않은 것을 아이 스스로 잘 할 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산입니다. 항상 첫걸음은 아이와 부모가 함께 시작하고, 그다음은 부모가 옆에서 지켜봐주고, 마지막 단계가 되어서야 비로소 스스로 하는 아이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점을 꼭 명심하시기 바랍니다.」p.108

 

 

<엄마는 첫 번째 선생님>은 가정과 학교, 방과 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의 장에서 아이가 잘 적응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가장 밑바탕이 되는 엄마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아이의 성향에 따른 공부방 꾸미기, 문제지 선택하기, 공부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정하여 관리하기, 생활습관이 확실하게 자리 잡도록 이끌어주기,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아동의 유형을 보면서 그에 대처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엄마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내용으로 가득하다.

책을 읽다 보면 다소 진부하게 느껴지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일치해야 만이 비로소 큰 빛을 발휘할 수 있는 것처럼 무럭무럭 자라는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 다시 한번 부모로서의 역할을 점검하면서 새롭게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