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다시 쓴 10가지 발견 - 인류의 역사를 바꾼 위대한 고고학적 발견들
패트릭 헌트 지음, 김형근 옮김 / 오늘의책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층누중 법칙. 지층의 생성 순서를 기리기 위한 층서학의 법칙이라고 하는데, 역사 또한 끊임없이 누적되어 겹겹이 쌓이는 지층과도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태초에 시작된 역사의 이면을 살펴보면 반드시 선구자가 있는 법, 그들은 끊임없이 몰입하는 무서운 집중력을 보여주었다. 그 어딘가에 파묻혀 제 빛을 내지 못하는 역사의 징표를 찾기 위하여, 때로는 잃어버린 세계와 사상을 재탄생시키기 위하여 노력했던 것이다. 투탕카멘의 묘, 마추픽추, 로제타스톤, 트로이, 폼페이의 기구한 탄생신화는 어떻게 긴 세월의 터널을 빠져나와 우리에게 나타났는가.

 

이쯤 되면 고고학에 대하여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이 이룩하여 남긴 유적이나 유물의 조각들을 모아서 역방향으로 추적하여 현세와의 상관관계를 맺고, 과거라 불리는 역사를 재조명하는 학문이라 볼 수 있겠다.

<역사를 다시 쓴 10가지 발견>은 고고학과 깊은 관련이 있는 책이다.

 

이 책에는 앞서 말한 로제타스톤, 진시황릉, 폼페이, 마추픽추, 트로이, 사해문서, 투탕카멘의 묘, 올두바이 협곡, 티라, 아시리아 도서관이 언제 어디서 누군가에 의하여 어떻게 발견되었는지를 알려주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그 발견이 전 지구적으로 퍼져 나가는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음을 낱낱이 공개하고 있다.

 


「로제타스톤은 이른바 사장된 언어들의 조합으로 더욱 돋보인다. '사장됐으나 잊혀지진 않은' 즉, 해독이 가능한 후기 프롤레마이오스 왕조의 그리스어 어형을 포함하고 있다. 이미 사장되고 잊혀진 문자인 고대 이집으 상형문자를 해독할 수 있는 실마리를 다른 언어들이 제공하는 것이다. 로제타스톤에 같은 내용을 이집트 상형문자, 민중문자, 고대 그리스 문자로 새겼기 때문에 고대 이집트 문자를 해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p.23

 

 

<역사를 다시 쓴 10가지 발견>은 총 10가지 발견에 대하여 핵심만을 골라서 독자에게 알려주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인과관계가 숨어 있으리라 생각되는 그 시대의 역사와 사상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하나의 유적이나 유물로 말미암아 그 시대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도록 책을 구성했다기보다는 시대 중에서 발견된 상징성에 집중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읽으면 좋을 듯하다.

 


 「"트로이 그리고 트로이 발견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 트로이를 다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묘사된 풍경을 지형학에 근거해 현재 지형에 맞춰보는 방법으로 가능했다. 이는 다른 발견들에 선례를 남긴 것으로 현대적인 고고학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p.46



 

언제나 발견의 시작은 왕성한 호기심과 탐구정신으로 무장한 사람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한 나라의 역사를 책임질 위대한 유적과 유물을 포기하지 않았던 인간의 정신력이 참으로 위대한 것임을, 그와 더불어 마추픽추, 투탕카멘의 묘와 같은 유적을 통해서 인간의 신기를 뛰어넘는 초인적인 능력을 엿볼 수 있었다는 점이 참 인상적이었다.

중고등학생이 읽는다면, 역사공부에서 핵심이라 볼 수 있는 유적과 유물을 공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책의 모든 내용을 기억할 수는 없겠지만, 10가지 발견의 대상은 머릿속에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