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역 간다 - 시인 121명이 찾아간 아름다운 간이역
이건청 외 지음, 좋은세상 엮음 / 굿글로벌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그대는 내 마음이 쉬어가는 곳이요, 끝없이 펼쳐진 레일을 쉼 없이 달리며 나를 만나러 오던 그대야말로 진정 나의 그리운 향수가 서려 있는 곳이었으니, 기약 없이 이별하던 순간마저도 당신이 최초의 목격자가 되어 우리의 인연을 잡아주었다. 흑백으로 얼룩진 마음의 정거장, 떠나는 사람도 돌아오는 사람도 모두가 추억의 사진 한 장으로 남아 빈 여백을 장식하는 곳, 그곳은 바로 간이역, 그대가 바로 간이역이다. <간이역 간다>라는 시집을 읽고 느낀 짜릿한 소감을 적어보았다. 121명의 시인이 '간이역'을 주제로 추억을 더듬는 詩의 나래를 마음껏 펼치고 있다.

 


왜 그들은 간이역을 찾아갔을까. 그 무엇이 시인의 감성을 자극하였는지 궁금했다.

<간이역 간다>는 하나의 주제를 놓고 121개의 기발한 발상의 창조, 추상(抽象)과 풍자를 아우르는 시인의 감수성을 발견할 수 있다. 허나, 약속이라도 한 듯 모두가 간이역을 향한 그리움을 밑그림으로 그려놓고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다는 점이다.

 

짧고 간략하면서도 그 속에 숨겨진 시인의 외침은 선명하게 제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다음은 김승기 시인의 '영주역 - 기차에서 만난 6월'이다.

 


 

청량리역에서 열차를 타면

창가에 빗소리 못내 졸음 겨우면

언뜻 바라보는 창밖은 온통 초록이고

잠을 깨어 또 바라봐도 여전히 창밖은 초록이고

그 초록 정말 지겨우면

아니 이제 잠도 지겨우면

바로 거기가 영주역이다

풀어진 다리로 계단을 허둥지둥

그런데 저것은 누구?

벌써 개찰구를 빠져 나가고 있는 6월

 

 


 

간이역은 그야말로 잠시나마 쉬어가는 곳이었을까. 사랑하고 이별하는 사람들의 만남의 장소는 아니었을까. 요즘은 간이역을 새롭게 단장하는 곳도 제법 생겼다. 아담한 전시공간으로 탈바꿈하여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에서 시작되는 작은 소품과 예술작품을 전시하기도 한다. 그렇게 간이역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제자리를 묵묵히 지키고 있는 것이다. 적적한 기운에 휩싸인 고독한 쉼터이지만, 기억하는 사람은 많았다. 비단 간이역을 주제로 한 詩가 아닐지라도 우리의 삶에서 잊혀져가는 것들을 찾아내어 이렇게 글로서 회상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전국 곳곳에 숨겨진 추억의 간이역을 알게 되어 유익한 시집읽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