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 시대를 품다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시대는 남존여비(男尊女卑)사상이 시대적 사상과 결부되어

하나의 관습으로 자리 잡고 있던 시대이다.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서 자신의 주장을 떳떳이 내세울 수 없었던 여성의 억압된 심신의 스트레스가

 고스란히 느껴진다. 지금은 시대가 바뀌어 남녀평등사상이 수면 위에 떠오른 듯하지만,

그래도 아직은 남성우월주의가 어렴풋이 존재하고 있음을 느끼곤 한다.

물질문명이 급속도로 발달한 현시대에도 이런 차별주의가 남아 있는데,

가히 조선 시대의 여성들은 어떠했으랴. 천부적인 재능으로 더욱 높이 도약할 가능성을 품고 있었던

조선의 여인들은 어떠한 삶에서 태어나 그 속에서 어떠한 생을 마감했는지가 궁금했다.

그래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여인, 시대를 품다>의 저자 이은식은 세월 속에 묻혀 바래지는 역사의 자취를 찾아

옛 선조들의 행적과 묘소, 사료들을 밝히어 진실한 역사를 기록으로 남기고 있는 문학박사이다.

현재 한국인물사연구원 원장, 성균관 수석 부관장, 사육신현창회 연구이사 등

우리의 역사를 다루는 많은 분야에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지명이 품은 한국사》《원규 그리고 이순신》《풍수의 한국사》《기생, 작품으로 말하다》

《미친 나비 날아가다》등의 다수가 있다.

 

이 책은 조선을 대표하는 여인, 그야말로 조선을 사랑했던 여인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박죽서, 허난설헌, 신사임당, 혜경궁 홍씨 등을 비롯하여

많은 여인의 생애와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책의 전체적인 흐름은 조선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 태어난 여성의 삶에

사회, 정치, 문화가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그를 통해서 여성이라 불리온 자들은 그것을

어떻게 인식했으며, 또한 어떠한 정신적 통로를 통해 작품을 탄생시켰는지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놓았다.

 

「당대에 처녀의 몸으로 넓은 세상을 보기 위해 홀로 여행을 떠난 김금원의 영혼은

시대의 엄격한 규율과 분위기도 어쩌지 못할 만큼 대범하고 자유로웠다고 하겠다.」p.33

 

옛 여인상은 대부분 지아비를 받들고 자식들의 뒷바라지와 살림에 힘쓰는 현모양처를

떠올리기 십상이지만, 김금원을 통해 자신의 야망을 위해 당차게 나아가는 여성상을 느꼈다.

또한,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자 현재 대한민국 오 만원 권 지폐의 인물인 신사임당을 통해

지혜로운 아내이자 훌륭한 어머니의 자세도 엿볼 수 있었으며,

궁중의 여인으로서 자신의 사적인 내용과 정치를 아우르는 대범한 글을 담은 <한중록>을 남긴

혜경궁 홍씨를 비롯하여 그녀들의 삶이 토해낸 작품은 기묘한 절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인, 시대를 품다>는 시대마저 품을 수 없었던 기구한 생을 살았던 조선 여인의

애환이 서려 있는 책이다.

여성으로서 자부심을 느끼게 해주었던 책이기도 하다.

책의 중심인물과 관련된 여러 인물의 묘소를 담아온 사진도 많이 수록되어 있어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놓은 느낌이 크다.

역사공부를 하는 학생이나 조선 시대 여인의 삶을 보다 가까이 접하고 싶은 사람이 읽으면 좋을 듯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