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의 순간 판단의 기술
와다 히데키 지음, 오영훈 옮김 / 두리미디어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저 사람이 그런 결정을 했을 리가 없는데…." , "왜 답이 뻔히 보이는데 저런 선택을…."

고위직 공무원의 비리와 갖은 수법을 이용한 검은돈의 횡령, 알면서도  

지르는 그들의 어처구니없는 행동들은 이미 여러 사례를 통해 많이 봤을 것이다.

작은 실수를 덮기 위해 거짓말이라는 이불을 포개고 또 포개어 결국은 거대한 산을

만들어버리는 크고 작은 기업들의 순간적인 판단 착오가 빚어낸 결과가

얼마나 참담한 것인지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는 책을 만나게 되었다.

 

<결정의 순간, 판단의 기술> 이 책의 저자는 심리학을 비즈니스에 접목시킨

비즈니스 심리 분야의 일본 최고 권위자이며, 지금까지 총 342권의 책을 집필한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주요저서로는 《요악의 기술》, 《1日 15分 활용의 기술》,《감정 정리의 기술》,

《하루 15분, 기적의 노트 공부법》등이 있다.

 

이 책은 심리학에 비즈니스를 접목시킨 저자의 말에 따라 사업가, 직장인, 또는 대기업의 간부와

부하직원으로서의 역할에 따른 판단력과 선택의 기준점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일명 '비즈니스닥터 북(Business doctor book)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싶다.

 

 

우리는 흔히 머리가 좋은 사람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

외모가 충줄하면 그에 따른 부수적인 요소들도 호감형으로 느껴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꼭 두뇌가 명석한 사람이 언제나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는 없는 법임에도 '머리가 좋으니까',

'그 사람은 똑똑하니까 믿어도 된다.'는 식의 판단을 내리는 것이다.

이것도 우리가 은연중에 저지르는 판단의 실수 중의 하나다.

모든 일에 있어 사람이 개입된다는 것은 사람과 더불어 그의 심리상태도 같이

개입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은 고장이 나면 삑삑거리며 소리 내는 기계가 아니므로 자신의 실수를 알면서도

태연스럽게 감추고 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누가 말했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이야기하였는가'라는

   내용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평사원이 이야기했다 하더라도,

   좋은 제안이라면 채택하여 실행하는 것이다.」p.104

 

이것은 책에서 말하는 '속인주의'에 관한 하나의 예시다.

 

「속인주의란 '훌륭한 사람이 이렇게 말했으니까 틀림없어',

  '아마추어가 말 한 거니까 그건 틀린 말이야'라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이다.」p.100

 

원칙을 세우고 그것을 지키려고 애쓰는 사람은 많다.

하지만, 쉽게 무너지는 사람도 많다.

 

<결정의 순간, 판단의 기술>을 대충 요약하면 이런 답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100퍼센트 내 마음에 맞는 사람은 없다. 때로는 선도 필요하고 악도 필요한 법!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립된 자세를 유지하되 어떠한 일을 진행하면서 편협된 사고방식을 가지지 말 것,

그리고 빠르게 변모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서 자신의 일을 진행할 것!

지금 당장은 귀에 쓴 말이라도 시간이 지나면 마음에 깊숙이 스며드는 귀한

보배 같은 말이 될 것임을 기억하자는 것, 때로는 실패도 공부라는 점을 기억하면

섣부른 판단이 빚어낸 안타까운 결과를 가져오지 않게 되리라고 책이 전하는 것 같다.

 

내가 <결정의 순간, 판단의 기술>을 읽기로 결정한 것이 결코 잘못된 선택이 아니었음을 느꼈다.

마음이 갈팡질팡하고 맡은 일에 대하여 속 시원히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사람이 읽으면 좋을 듯싶다.

명쾌한 정답을 알려주기 보다는 그에 도달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주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