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기통찬 자기주도학습법 입학사정관제의 정석
송태인 지음 / 미디어숲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과거의 학생들은 맹목적으로 학업에 매달렸다. 아니, 나는 시달렸다고 생각한다.

과거라는 것은 입학사정관제가 시행되기 전인 2007년 이전의 시간을 말하는 것이다.

학생 개인의 잠재능력을 발견할 여유와 기회조차 찾을 수 없이 학교와 학원을 오가며,

그것도 모자라 과외까지 동반했으며 자신의 숨은 재능을 찾기란 쉽지 않았다.

그렇게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최상급 점수를 받아 좋은 대학에 가는 것을 목표를 삼고

많은 학생이 곧이곧대로 학업에 매진했다.

하지만, 사회는 맹목적으로 학업에 헌신한 학생의 능력을 과소평가한다.

더욱 뛰어나고 획기적인, 더 나아가 창조적인 능력자를 원하는 것이다.

<입학사정관제의 정석, 나만의 기통찬 자기주도학습법>을 읽기에 앞서,

혹시라도 이 제도에 대하여 잘 모르는 사람이 있을지 몰라 간단한 설명글을 덧붙인다.

 

입학사정관제(入學査定官制)란 무엇인가?

 

대학의 일반 업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입학사정관을 채용하여

학생의 학생부를 비롯하여 계량적인 성적뿐만 아니라 개인의 환경과 특기, 그리고

대인관계, 논리력, 창의력, 잠재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합격 여부를 가리는 제도를 말한다.

 

<입학사정관제의 정석, 나만의 기통찬 자기주도학습법>은 입학사정관제를 통해서

자신의 잠재능력을 찾아 그것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시키면서

학생 자신이 가고자 하는 대학을 안정적으로 입학할 수 있었던 학생들의 합격 수기를 엮어놓은 책이다.

 

 

31명의 합격생이 들려주는 살아 있는 자기주도학습서!

 

자기주도학습의 시작이 곧 입학사정관제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말한다.

학생들의 합격 수기를 읽어보니, 학습방법은 개인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었지만,

각 교과목에 접근하는 방식이나 그에 따른 학습계획표는 대부분 비슷했다.

게임에 중독되어 최하위권 성적에 충격을 받아 마음을 다잡고 경찰대에 합격.

선천성 말판증후군이라는 병과 싸우며 자신의 꿈을 향해 전력을 다해

강남대 행정학과에 합격한 수기를 비롯한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자신만의 역량을 키우고자

다짐했던 학생들의 학습 동기는 그 시절에 꼭 찾아오는 사춘기와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스스로 공부의 필요성을 깨달은 것이다.

 

 

「고등학교 1학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인생의 목표,

내가 가고자 하는 대학이 어딘지 목표를 세우는 것이다.

목표가 생기면 그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열정이 생기기 때문이다.」

 

- <치밀한 계획과 실천으로 서울대 경영학과에 합격한 김남백>p.135 -

 

 

그렇다면 '입학사정관제'는 학생의 무엇을 평가하는가?

 

 

첫째, 학생이 걸어온 삶의 진면목을 들여다보려 다양한 절차를 밟게 한다.

둘째, 실패와 좌절도 중요한 경험으로 평가해 준다.

셋째, 용기 있는 사람과 도전하는 사람에게 가산점을 준다.

넷째, 풍부한 스토리텔링을 원한다. 평범한 사람보다 우여곡절이

많은 사람이 리더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안다.

다섯째, '자기를 파악하려 노력하는 사람'을 찾는다.

 

 

 

그 외에도 수많은 평가 기준이 책에 많이 실려 있다.

이 책은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는 학생과 학부모에게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면접을 위한 준비와 각종 경시대회의 수상경력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 봉사활동 등

자신을 어필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작성의 중요성도 언급한다.

 

「우선순위에 따라 장기계획부터 세웠고 동시에 분기별로 꼭 학습해야 할

목록을 작성해 각 분기가 끝난 후 성취도에 대한 반성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긍정적인 Self-Control로 성균관대 자연과학부에 합격한 '송경은'>p.237-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앞으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진지하게 생각해보자.

그리고 그렇게 하려면 어떠한 계획과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도 생각해보자.

그렇게 목표가 뚜렷해지고 그에 따른 계획이 체계적으로 세워졌을 때,

'입학사정관제'에 과감히 도전해보자!

중고등학생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