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날의 깨달음 - 하버드에서의 출가 그 후 10년
혜민 (慧敏) 지음 / 클리어마인드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젊은 날의 깨달음>의 저자 혜민 스님은 캘리포니아 주립대 버클리에서 종교학을

전공하셨고, 하버드 대학원에서 비교종교학 석사를 수학하던 중 출가를

결심하게 되었으며, 2000년 봄에 해인사에서 사미계를 받으면서 조계종 승려가

되었다. -「젊은 날의 깨달음」 저자 소개글 인용-
 




 

이 책은 하버드 대학원을 졸업한 젊은 스님이 썼다는 선입견을

버리고 읽어야 한다.

물론 평범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책이라는 것은 틀림없다고 본다.

왜 하버드 대학원을 나와서 승려의 길을 택했을까.

더 많은 기회가 있었을 것이며, 하고 싶은 것도 많았을 텐데 왜?

그래서 이 책을 더 집중적으로 읽을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무엇이 혜민 스님을 깨달음에 이르게 만들었을까?

그 젊은 날에 어떠한 사연이 있었기에 혜민 스님은 승려의 삶을 살게 되었는가.

 

이 책은 혜민 스님이 출가 후 10년 동안 교계 언론지를 통해 발표했던 글과

최근에 쓴 글을 모아서 엮은 에세이라 보면 될 것 같다.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젊은 날을 보내며 그 속에서 깨달음을 얻게 된

진지한 과정은 혜민 스님의 글을 통해서 자연스레 느끼게 되었다.

미국의 교육과 한국 교육의 차이점을 객관적인 각도로 바라보면서 느낀 점에

대해 언급한 부분도 인상적이었다.

미국의 학생들은 공부가 삶의 최종 목표도 아니고,

인생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었다.

주입식 교육이 우선시 되어 있는 한국의 학교 수업체계와 학생들에게 질문을

많이 하고, 학생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사고력을 키워주는 것을 우선시하는

미국의 수업방식은 우리에게 전하는 바가 크다.

억압받지 않는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활성화된 외국에서 자신의 적성을 찾아

스스로 원하는 공부를 깊이 있게 할 수 있었기에 그 속에서 더욱 나은

삶의 진리를 찾게 되었고 참자아를 발견하게 되면서 승려의 길을

선택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젊은 날의 깨달음>은 스님이기 전에, 건강한 사고를 지닌 젊은 청년의 두 눈에

비친 세상 속에서 갈수록 혼란스러워지는 세상의 겉껍데기가 아닌, 그 껍데기에

둘러싸인 삶의 참모습을 발견하게 해주는 글이 많이 실려 있는 책이라 본다.

 

자신과 함께 존재하는 모든 것과 소통하는 삶을 살고 있는 혜민 스님

 

미국의 대학 강단의 교편을 잡고 계시는 모습을 보면 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이 느껴지기도 한다.

젊은 날의 깨달음이 이럴진대, 앞으로 스님의 깊은 깨달음을 더 배우고 싶다는

생각을 끝으로 글을 마치려 한다.

책에서 인상 깊은 구절이 있어 적어본다.

 

「승복을 입게 된 후 가장 큰 변화라면 행복이라는 것은 (중간 생략)

지금 바로 내 주변을 살피면서 조건 없이 나누어 줄 때 행복이

바로 나와 같이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p.40

 



어떠한 삶을 사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주어진 삶을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하다고 책이 말하는 것 같다.

<젊은 날의 깨달음>을 읽으며 나 자신이 아주 조금이라도 성숙해진 느낌을 받았다.

진로문제를 비롯한 많은 고민거리를 껴안은 청소년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