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명화, 붉은 치마폭에 붉은 매화 향을 담다 (표지 2종 중 ‘청록’ 버전)
서은경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고등학교 교과서나 혹은 한국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보았었던 명화들. 그리고 박물관에서 봤었던 것들이 전부였다. 사실 책으로 접해본 적은 거의 없다. 우리나라의 화가가 그린 작품이라 그런지 다른 나라의 그림들보다 좀 더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은 가졌지만 막상 접할 일이 잘 없었는데 이번에 좋은 기회가 닿아 이렇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만화로 그려져서 좀 더 친숙하게 와닿게 도와준 책이라고 생각한다. 머리말을 시작으로 등장인물들이 나오고 그 등장인물들이 작품들을 접하면서 과거의 그 그림을 그린 그 시대로 가서 그림에 대해 말해준다. 정선의 <인왕제색도>를 비롯하여 정약용의 <매화병제도>, 남계우의 <화접도>, 안견의 <몽유도원도>, 강희언의<사인휘호>, 정선의 <청풍계도>, 김홍도의 <좌수도해도>. <한정품국도>, 김정희의 <세한도>, 이정의 <묵죽도>, 전기의 <귀거래도> 그리고 고사 인물화와 산수 인물화 등을 소개한다.

이름을 한 번쯤은 들어본 작가들이 많지만, 그 작가의 작품에 대해서는 잘 몰랐는데, 이 책을 접하면서 한 수 배운 느낌이다. 특히 김홍도는 서민들을 주로 그린 작품만 봐와서 저런 작품을 그렸을 것이라고 생각도 못했는데, 이번에 이렇게 또 새로운 모습을 보게 되어 신선했다. 그래도 내가 교과서에서 접했던 작품들이 몇몇 보여서 반갑기도 했다. 이 책을 보지 않았더라면 그 작품을 볼 때 작가를 생각하면서, 그리고 작품을 좀 더 깊게 볼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만화라서 생각보다 부담이 적었고 줄글이 중간중간 있어도 지루하지 않았다. 오히려 좀 더 관심있게 봐졌다. 만화로 작품들을 소개한다는 것 자체도 신선했다. 그리고 그 작품을 볼 때 어떻게 볼지에 대해서도 생각을 하면서 보게 되었다. 간만에 힐링되는 유익한 시간도 가졌다. 그냥 어찌보면 사진하나 딱 보고 넘어가고 거의 그런게 다였는데, 이렇게 한 작품을 시간을 여유있게 가지면서 본 건 처음이라 그럴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나처럼 조선의 명화에 대해 스쳐지나간 사람들, 근데 또 관심은 없지 않은 사람들 혹은 관심을 가져보고 싶은 사람들이 이 책을 접하면 더 좋을 듯하여 추천하고 싶다. 그리고 더불어 한국인이라면 더더욱 관심을 가지고 이런 책을 많이 보면서 한국의 명화 뿐 아니라 한국의 역사도 같이 섭렵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