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노블로 읽는 수학 이야기 쉽고 재미있는 인문학 3
인동교 지음 / 시간과공간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려운 수학 인문학도 이제는 보다 쉽고 재미있게 만화로 접해보시면 어떨까요?

시간과공간사에서 출판된 《그래픽 노블로 읽는 수학 이야기》입니다.

쉽고 재미있는 인문학 시리즈 3번째 이야기에요.



차례를 보면 고대 그리스 수학, 수학의 전성기인 헬레니즘 시대의 수학, 중세 암흑기의 수학, 근대 수학까지 총 4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수학의 시작이었던 고대수학편에서는 탈레스와 피타고라스가 소개됩니다.

막대기 하나로 피라미드의 높이를 계산했던 탈레스, 그리고 이집트나 바빌론에서 쓰던 직각삼각형의 비율속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발견한 피타고라스의 이야기를 읽으면 신기하고 놀랍고 참 재미있었습니다.

헬레니즘 시대에도 유명한 학자들이 눈에 띄었었답니다. 지금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도 배우고 있는 많은 수학 명제들은 유클리드가 쓴 기하학 원론에서 나오는 것들이라고 해요. 이 책은 후대의 많은 저명한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지금도 여전히 수학계의 바이블이라고 합니다. 상식으로 알아두어도 너무 좋을것 같아요.

2022년 허준이 교수가 받았던 필즈상은 아르키메데스의 초상이 그려져 있는데요. 유레카를 외쳤던 이 학자는 파이의 값 뿐만아니라 원의 넓이, 원뿔과 구의 부피도 알아냈더라고요. 구하는 방법을 알아내는 방식이 참으로 기발했던것 같아요. 아르키메데스 묘비 일화도 재미있었으며, 대수학의 아버지인 디오판토스의 방정식 묘비는 더 신기했었습니다.

중세의 암흑기에도 수학의 발전은 이어졌어요. 우리가 사용하는 방정식 풀이법이 콰리즈미의 양팔저울의 수평에서 찾았더라고요. 콰리즈미는 인도 숫자와 계산법을 책으로 정리했다고 합니다.

피보나치의 수와 황금비율에 관한 이야기도 재미있었습니다.

근대의 수학자들도 대단한 업적을 많이 이루었더라고요. 로그의 발명가인 네이피어, 방정식 같은 대수기하학(해석기하학)을 창시한 데카르트, 기상 예보에서 나오는 이름인 파스칼의 삼각형 배열, 미적분을 발명한 뉴턴과 라이프니츠, 2진법 사용 계산기를 발명한 러이프니츠, 수학계의 지존 가우스까지 천재적인 수학자들의 이야기들을 정신없이 읽어내려갈 수 있었습니다.

글로만 된 수학 인문학이었다면 지루할 수도 있었을테지만 이 책은 그래픽노블로 되어 있어 접근하기도 쉬웠고 스토리도 재미있게 잘 구성해놔서 술술 읽어나갈 수가 있었습니다. 정말 하룻밤에 다 읽을 수 있는 한 권의 인문학이더라고요. 계산하는 과정도 한번씩 나와서 머리가 아주 살짝 아프기도 했지만요. ㅎㅎ 청소년 뿐아니라 어른이 읽어도 될 정도로 다양한 수학관련 정보들이 가득했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보면 모든 생물은 그들의 능력을 완전히 발휘할 때 행복해 한다고 주장했고 인간은 사고하는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때 가장 행복하다고 합니다.

사고하는 능력을 키우는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이 수학 공부이기에 수학을 배우는 것이라고 해요.

이런 이야기를 들었을때 좀 억지스럽기도 했습니다. 행복의 기준은 저마다 다르니까요. 하지만 어떤 이유였든 지금껏 많은 학자들이 수학라는 학문을 배우고 공부하며 발전시켜 나갔기에 과학도 발전될 수 있었고 좋아진 세상에서 살아가게 된것만은 사실인것 같습니다.

비록 이 책으로 행복해질 수 있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겠지만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중학생이 되고 고등학생이 되어 배우게 될 유리수나 무리수, 방정식, 미분, 적분 등에 대해 좀더 친숙하게 다가갈수 있는데에 도움이 될것 같다는 생각은 들게 만드는 책이었습니다.

저는 첫번째 서양 철학 이야기와 두번째 서양 과학 이야기도 이미 읽어봤던터라서 훨씬 더 이 책이 친근했던것 같아요~^^ 시리즈로 계속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답니다.



고리타분할것 같은 어려운 수학 이야기도 재미있게 그래픽노블로 접근하여 우리가 왜 수학을 배워야하는지, 수학과 왜 친해져야 하는지 알게 만드는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 책 《그래픽 노블로 읽는 수학 이야기》 였습니다.



ㅡㅡㅡㅡㅡㅡ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ㅡㅡㅡㅡㅡ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