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표적인 서정시인 김소월 시집을 멋진 칼라 일러스트와 함께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더라고요. 시집 한권을 바로 소개합니다. 북카라반에서 출판된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입니다. 시인 김소월의 본명은 김정식이며 소월은 '흰 달'이란 뜻의 호라고 합니다. 호 또한 시처럼 참 멋진 것 같아요. 차례를 보면 학창시절 들어봤던 시 제목도 보이더라고요. 진달래꽃, 엄마야 누나야, 그리고 (표지에서도 일부 보이는) 가는 길 등만 알겠는데 생각보다 많은 시들을 남겼었습니다. 내용을 보면.. 시 한편한편 전체가 일러스트로 되어 있는건 아니더라구요. 그래도 비교적 많은 시들과 함께 일러스트도 만나 볼 수가 있었습니다. 시의 내용이 서정적으로 잘 그려지는 몇몇 작품만을 골라 그와 잘 어우러진 멋진 일러스트가 그려지고 있었어요. 그림들이 비교적 포근하게 느껴지고 따뜻하게 느껴지기도 했었습니다. 시를 읽다보면 왜 김소월이 서정시인의 대명사가 됐는지 알 수가 있겠더라고요. 시만 그냥 읽기보다는 그와 잘 어우러진 멋진 일러스트를 같이 보면서 시를 읽어 내려가면 왠지 더 몰입이 되고 좋았던것 같아요. 개인적으로는 유명한 '진달래꽃' 시 속의 일러스트가 참 따뜻하고 화사해서 좋았답니다. 김소월 시들을 음미하다보면 지금은 볼 수 없는 그때 그 당시의 언어가 한 번씩 보이기도 했었고 사투리 같은 언어도 보이는데 이 또한 참 신선하고 새롭게 느껴졌던 것 같습니다. '눈물이 수르르 흘러납니다'라는 시에서 수르르는 어떤 뜻일까 찾아 보기도 했었어요. 지금은 잘 쓰지 않는 단어들을 찾아보는 것도 저에게는 또다른 재미였던것 같습니다. 한편 한편 읽다보니 제목만으로는 몰랐던 시 같았는데 내용을 알고 있는 시도 보여서 반가웠습니다. '못 잊어'나 '개여울' 같은 시였어요. 개여울 중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시던 그러한 약속이 있었겠지요.' '서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심은 굳이 잊지 말라는 부탁인지요.' 등의 구절이 지금 다시 읽어도 참 멋지게 느껴졌던 것 같습니다. 모처럼 고등학교때인가 김소월 시를 공부했던 기억도 떠올려보기도 했었고 시집을 읽으며 힐링도 됐던 시간들이었습니다. 눈이 즐겁고 마음도 따뜻해지는 김소월 시였어요. 예쁜 시집을 저희 아이들에게도 권해주고 싶었답니다. 멋진 칼라 일러스트와 함께 김소월의 시를 음미해보시기 바랍니다.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였습니다. ㅡㅡㅡㅡㅡㅡ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ㅡㅡㅡㅡ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