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3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쉽게 설명되어진 저학년 책으로 논어에 관한 책을 이미 접해본터라 공자에 대해서, 논어에 대해서 큰 거부감 없이 「논어」책을 읽을수 있었다.

혼돈의 시대였던 춘추전국시대 노나라에서 태어난 공구(공자의 본명)는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정치에 꿈을 두었으나 실패후 고향으로 돌아와 제자양성에 힘쓴다.
논어는 그런 치열하고도 위험한 삶을 살았던 공자와 그런 공자를 평생 존경하며 따랐던 제자들의 삶의 기록을 모아 훗날 공자의 제자가 편찬한 책이다.


「논어」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이 담긴 어록이다.

 
조선의 근간이 되었던 유학에서 가장 중요시 했었던 경전 논어~
논어는 총 20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492장, 600여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컴퓨터가 없었고 종이도 없어 죽간에 기록하였던  시절 이 많은 문장을 다 기록하였을 제자들의 노고가 얼마나 컸을지 짐작도 못하겠지만 요즘들어 책 한권으로 논어를 만나볼수 있고 두고두고 볼수 있다는데 감사함을 갖어야하나 하는 생각도 잠시 해봤었다.

「논어」는 고대 중국어로 씌여져 있던 책이라 누가 해석을 하는지에 따라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질수 있기 때문에 시대에 맞는 재해석이 계속 되는것 같다.

소준섭 작가를 통해 씌여진 「논어」는 한자, 한글, 해석, 해설로 구성되어져 있는데,  여타「논어」책과 크게 벗어난 구성은 아니나 기존에 번역된 공자의 사상과 부합되지 않는 해석이라든지 중국위주의 편견이나 쇄국주의적 경향 또 정교하지 않은 해석 등을 현대에 맞게 재 해석했다고 한다.

「논어」의 내용은 공자의 말과 행동, 공자와 제자 사이의 대화, 공자와 당시 사람들과의 대화, 제자들 간의 대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문장마다 친절하게 해설되어져 나온 이 「논어」를  꾸준히 틈나는 대로 필요한 부분을 찾아 읽어나가다 보면 용기보다 정의를, 말보다 행동을 중요시하고 배움, 친구, 효를 가르치려 했던 공자의 가르침이 그대로 내 인생 살아가는데 큰 지침이 될듯하다.

고등학교시절 한자시간에 배운 가장 기억에 남는 문장이 1편 첫장부터 나와 어찌나 반갑던지~~

子曰 :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이 첫장은 인간이 스스로 자신을 수양하고 최선을 다하는 길을 기술하고 있다.

배움에는 때가 있기 마련이다.
공자의 말처럼 지금 공부하고 있는 부분을 열심히 배우고 때에 맞춰 실천하면 언젠가는 즐겁게 웃는 날이 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2500여년전에 공자의 가르침이 지금 나에게도 큰 가르침이 되고 있는 중이다.

책 뒷편에 소개되어져 있는 위 왼쪽 사진은 1687년 프랑스파리에서 발행된 「유고, 중국철학」중 '최고의 중국 철학자, 공자의 삶'의 첫장에 나와있는 책이라는데 서구적인 모습의 공자를 보니 예전에 외국인이 그렸던 우리나라 지폐속 인물이 서구적인 모습을 한것과 비슷한 느낌이 들어 웃음이 났었다. 동양인이 그린 공자의 초상화그림과 왜 이리 느낌이 다를까? ㅎㅎ


☆☆☆

인간의 본질에 대해 가장 정확하게 분석하고 인간이 지향하여 나아갈 바를 가장 본원적으로 가르쳐 주고 있는 논어이기에 2500년이 지난 지금에도 현대인들에게 지금까지도 많이 회자되고 널리 읽혀 내려오고 있으며 꾸준히 사랑받는게 아닌가 싶다.

인문학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지금 시대를 뛰어넘는 최고의 인문고전 「논어」 또한 소장할만한 가치있는 책임이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