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랑 - 김충선과 히데요시
이주호 지음 / 틀을깨는생각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 옆에 자주 등장하는 왜인, 그가 왜 그자리에 있었는지 마냥 궁금하기만 했었다.
그런데 「역랑」에서 항왜할수밖에 없었던 김충선이라는 인물을 통해 그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풀수 있었다.
(항왜(降倭)는, 한국에서 항복한 일본인들을 가리키던 용어이다. 좁은 의미에서의 항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 및 명에 투항한 일본군을 가리키며, 흔히 쓰이는 항왜는 바로 이들을 가리킨다. )



「역랑」은  영화로도 상영되어 너무나도 유명한「광해, 왕이 된 남자」를 쓴 이주호 작가의 6년만의 새 역사소설이다. 
워낙 「광해, 왕이 된 남자」영화를 좋아하던터라  자주 돌려보곤 했었는데 이  작품을 쓴 작가라는 사실에 한껏 기대하고 읽어내려간것 같다.

주옥같은 대사가 눈에 들어왔던 「광해, 왕이 된 남자」영화처럼 「역랑」또한 곳곳에 맘에 와닿는 대사가 스토리를 더 빛나게 하였다. 역시 대단한 작가답게 그 필력 또한 뛰어났다.



「역랑」은 일본  전국시대가 통일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기까지 급변했던 전쟁 상황과 과정을 일본의 입장에서 풀어나가고 있다.

일본 전국시대를 잘 알지 못하고 소설을 접한 나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알고 있었지만) 오다 노부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그 시대를 주름잡았었던 실존인물이었는지 나중에 알게 되었는데 일본 전국시대 인물들에 대해 미리 알고 있었다면 소설을 더 이해하기 쉬웠을듯하다.

(혼돈의 카오스 전국시대를 대충 정리하고서 통일을 목전에 두었던 사람이 오다 노부나가, 그의 사후 일본을 거의 통일한 자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이 두 사람의 시대는 특별히 아즈치-모모야마(安土桃山) 시대 또는 쇼쿠호 시대(織豊時代)로도 아울러서 칭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일본을 완전 통일한 장본인이 도쿠가와 이에야스다.)

전국시대를 통일한 도요토미 정권은 내부갈등을 자리잡고자  관심을 밖으로 돌려 조선과 명을 정벌하려는 야욕을 품는다. 바로 임진왜란이다.

뿌리가 조선인인 히로는 임진왜란 당시 가토의 선봉장으로 군사 3천명을 거느리고 전투에 참여했다가 이순신암살작전에 투입이 되지만 결국 히로는 조선에 투항하여 조선군으로써 큰 공을 세운다. 이가 바로 김충선이다. 

본 조선이름을 갖고 태어난 김석운은 일본으로 넘어가 히로가 되고 항왜하여 사야가로 전쟁승리에 한몫을 한뒤 선조에게 김충선이란 이름을 하사받는다.
「역랑」은 바로 김충선의 일대기가 그려지고 있다.

"나는 조선인인가, 일본인인가. 이들은 전쟁으로 인해 죽어야 할 이유가 있는가. 칼 한번 잡아본 적 없는 장수가 목숨을 던지고 죄 없는 인물들이 죽어 나가고 있단 말인가."
p.245

뿌리는 조선인이지만 일본에서 힘겹게 살아왔을 히로의 내적 갈등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정체성을 알고 살아가는게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듯 하다.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 히데요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일본인에게는 전국을 통일시킨 영웅이다.  「역랑」은 이 히데요시와 김충선의 얽히고 섥힌 그들의 삶이 긴장감 넘친 스토리속에 잘 그려져 있는데 다만 아쉬운것은 히로(김충선)가 항왜할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한 설명이 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아무리 조선인의 피가 흐른다고 해서 그토록 일본에 충성스런 존재가 이순신장군의 설득에 너무도 쉽게 무너질수가 있는 것인지~~


처음 「역랑」제목을 보고 그 의미를 알수 없어 찾아보았다.
역랑 逆浪 은 사전적 의미로 역풍으로 인하여 거슬러 밀려오는 물결, 세상이 어지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 한다.
읽다보니 제목과도 너무 잘 어울리는 소설이었던것 같다.

다소 두꺼워 부담스러웠던 책이지만 그런데도 의외로 술술 읽어내려갔던것 같다.
비록 소설이지만 역사적 실존인물들이 잘 그려진 「역랑」을 보며 전국시대의 흐름 또한 쉽게 잘 이해하고 그려낼수 있었던것 같다.
더불어 영화로 만들어도 좋을 것같다는 생각도 해봤다.
역사소설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역랑」을 추천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