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가 닮고 싶은 조선의 고집쟁이들 - 열정과 도전으로 성공한 조선 최고의 전문가들
아해와 이야기꾼 (김단아, 김명옥, 심재은, 최서현, 최정이) 지음, 한창수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이라는 사회는 엄격한 신분 사회였다.
그래서 알려진 인물이나 기록으로 남은 인물들은 대부분 양반들의 이야기가 아니었나 싶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의미가 있다.
양반이 아닌, 중인 이하의 신분이었지만, 신분의 벽을 넘어서 전문가로서 인정을 받을만한 인물들의 이야기이므로.
 솔직히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천민 시인이 있었으리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기생이지만 시나 문학이 뛰어난 사람이 있었다는 이야기만 들었을 뿐이다.
 조선 후기에는 중인과 상민, 천민 중에서 함께 모여 글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이런 사람들을 ’위항 문인’이라고 했단다. 그 가운데 홍세태는 시를 잘 짓는다 하여 숙종 8년에 통신사로 뽑혀 일본에 가기도 했다고 한다. 그의 글이 나라를 구한 이야기가 이 책에 나온다. 文은 武보다 강하다고 하지 않았던가.
조선 시대 제 2대 임금 태종의 전임 사관이었던 민인생은 왕도 두려워하지 않고 왕실의 사건과 사고를 있는 그대로 기록햇던 인물이었다.
 최북은 자신의 눈을 찌를 만큼 양반 비위 맞추는 걸 싫어하고 그림에 대한 자존심이 강해서 고집불통 같은 인물이었다.
  조선 시대의 예술, 과학, 언론에서 신분의 벽으로 무시를 당했을지 모르는 이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하지만, 그들은 각자 그 분야의 꾼, 전문가들이 아니었나 싶다.
고집으로 이룬 열정과 도전 정신만큼은 누가 뭐래도 높이 평가해야 할 것 같다.
조선의 고집쟁이자 숨은 인재였던 그들이 있었기에 우리의 오늘이 더 나아질 수 있지 않았을까?
 내 아이는 어릴 때부터 꿈을 가지고 있었는데 요즘은 또 다른 꿈을 꾸는 것 같다.
꿈이 늘 같지 않고 자라면서 자꾸 바뀌지만, 아이가 정말 좋아하고, 하고 싶은 일을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아이가 열정과 도전으로 꿈을 이루어 가길 바란다. 이 책에 나오는 조선 최고의 전문가들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