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알아야 할 이별에 관한 이야기 - 이별의 슬픔을 이겨 내는 6가지 방법
로란트 카흘러 지음, 송소민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이별은 짧은 이별과 긴 이별, 어쩌면 시간적인 이별보다는 공간적인 이별이 더 이별이란 단어와 어울리는 것 같아요.
  이 책에서는 쉬운 이별과 힘든 이별이란 표현을 했는데 다시 만날 수 있는 이별과 영영 만날 수 없는 이별도 있다는 것을 초등생 아이들은 이해할 수 있답니다. 우리 큰 아이의 경우 초등 1학년이었을 때 아이의 외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는데 지금 작은 아이는 그보다 훨씬 어렸지만 가끔 외할아버지가 예전에 있었는데 어디에 가셨냐고 묻곤 해요.
 가족의 죽음을 통해 아이들은 이별에 대한 의미를 알게 된답니다.

 쉬운 이별과 힘든 이별
사람은 죽으면 어디로 갈까?
장례는 어떻게 치러질까?
사람마다 슬픔의 크기는 다를까?
슬픔은 어떻게 사라질까?
다시 만날 희망을 꿈꾸며

여섯 편의 짧은 이야기를 통해서 아이와 이별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어요.
외할아버지의 죽음, 그리고 장례, 그리고 외할아버지의 무덤을 찾아가 보아서인지 아이는 어렵지 않게 이별을 이해하는 것 같아요.

이 책에서는 <깊은 생각>과 <같이 생각해 봐요>에서 이별에 대해 알아야 할 이야기를 들려주고, 아이에게 이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 볼 수 있게 도와주고 있어요.

죽음도 우리 삶의 한 부분이란다. 모든 사람은 죽어. 하지만 우리는 그것을 인정하고 싶어 하지 않지. 그래서 그냥 모른 척하려고해. 그래도 누군가 죽으면 그 사실을 똑바로 바라봐야 한단다.
-죽음도 우리 생활의 한 부분이야 中에서-

나이가 들어 병들어 돌아가시는 분도 있지만, 나이와는 상관없이 사고로 죽는 사람도 많지요. 그래서 이 책은 꼭 죽음을  경험한 아이가 아니라도 읽어두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이별의 슬픔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아이에게는 더욱 필요한 책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