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앗은 어떻게 해바라기가 될까? 어메이징 사이언스 4
데이비드 스튜어트 글, 캐롤린 프랭클린 그림, 안현경 옮김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씨앗은 어떻게 해바라기가 될까?
아주 작은 씨앗이 꽃이 된다는 건 아주 신기한 일이죠.
해바라기씨는 햄스터가 좋아하는 먹이 가운데 하나랍니다.
우리 집에는 햄스터가 있는데 매일 해바라기씨를 먹이로 먹고 있거든요.
매일 해바라기씨를 햄스터 먹이로만 주었지 심어볼 생각을 못했네요.
올 봄에는 꼭 해바라기씨앗을 화분에 심어서 해바라기를 키워 보고 싶어요.
초등 슬기로운 생활 교과에 봄, 자연, 동물과 식물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답니다. 
초등 교과와 연계되어 있어서 초등 들어가기 전에 읽어두어도 좋은 과학책이에요.
 
 베란다 화분에 씨앗을 심어서 싹이 나고, 그 싹이 자라서 꽃을 피우는 모습을 보면서 아이는 무척 좋아했어요. 식물은 모두가 꽃을 피우는 건 아니지만, 꽃이 핀 모습을 보면서 아이는 더 즐거워하더라구요.

해바라기는 봄부터 가을까지 사는 한해살이 식물이랍니다.
꽃이 아주 크고, 키도 아주 커서 아이들이 신기해 하기도 하더라구요.
작은 씨앗에서 아주 커다란 해바라기로 자라는 것이 저도 신기하긴 했어요.
해바라기는 다자라면 3미터나 된대요.
땅속의 뿌리도 똑같이 3미터나 자라 있답니다.
그게 더 신기해요.

식물은 왜 꽃을 피우나요?
해바라기 꽃은 얼마나 큰가요?
곤충은 해바라기에게 어떤 도움을 주나요?
씨앗은 어떻게 멀리 퍼지나요?

이런 궁금증들을 하나하나 풀어가요.


씨앗이 해바라기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정리되어 있고, 해바라기를 키우는 실험관찰과 해바라기는 정말 해를 향해 고개를 돌릴까? 하는 실럼관찰이 있어요.
아이와 함께 실험해 보면 좋을 것 같아요.

색지를 찢어서 표현했는데 그림이 큼지막하게 확대되어 있어서 아이들이 이해하기 좋아요.
올 봄에는 아이와 화분에 해바라기 씨를 심어 볼래요.
해바라기 꽃이 피면 아이와 함께 실험관찰을 하고 일지도 적어 보려고 해요.
과학은 지식에 관한 책을 읽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실험관찰하는 활동까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