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리에게 햇살을 - 좌절과 분노를 극복하고 참된 자아를 발견하게 하는 청소년 심리소설
프리실라 커밍스 지음, 최순희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은 흔히들 말한다. 행복한 시절에는 행복이 무언지 모르고, 지나고 나서야 그때가 행복한 때였음을.
푸른 빛 속에 한 여자 아이. 얼굴이 보이지 않는 긴 머리 소녀의 앞 표지, 뒷표지엔 역시 푸른 빛이지만, 아이의 긴머리 카락과 주근깨 소녀의 얼굴이 보인다.
이 책에서는 같은 소녀인데도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같은 환경이지만 그건 생각하는 것에 따라서 다른 모습으로 보일 수도 있고, 때론 보는 것도 보여지는 것도 다를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닐까.

 책 속의 주인공 소녀 켈리는 평범한 학생이었다. 열두 살의 켈리에게 일어난 사고, 고객과의 만남을 위해 귀가를 서두르던 엄마가 빨간불을 무시하고 달리다가 트럭과 추돌한 것이다. 차에 불이 나면서 얼굴에 3도 화상을 입은 켈리는 수차례의 피부이식 수술을 이어 이식 부위가 매끈하게 치유되도록 오랜 기간 투명 압박 마스크를 쓰게 된다.
 엄마는 트럭 기사의 잘못이 아니라 자신의 잘못임을 알면 켈리가 자신을 미워할 것이라 생각하고 그 사실을 켈리에게 이야기 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사실을 알게된 켈리는 엄마에 대한 분노와 사랑을 동시에 갖게 된다.
 
 ’만약 켈리와 같은 상황이 나에게, 내 아이에게 닥친다면 어떨까?
나와 내 아이가 그 상황을 잘 헤쳐나갈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나 처음엔 세상을 향해 나오기가 무서울 것 같다. 하지만 그건 켈리처럼 그렇게 극복해 나가야 할 듯하다. 
 "크리스틴은 손가락을 잃었지만, 자기 자신을 잃어버리진 않았지." 이런 말을 라모트 박사는 켈리에게 해 준다. 몸의 일부분을 잃는다고 해서 모든 걸 포기해선 안 된다는 것이리라. 켈리도 다른 아이들보다 잘 하는 것이 있고, 켈리가 켈리다울 수 있는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소설이라고 한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도 많은데 아이들뿐 아니라 사회적인 풍조도 비판하고 있는 듯하다. 두려움과 고통을 이겨나가는 켈리의 심리가 아주 잘 그려진 감동적인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