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심리학 - EBS '60분 부모'에서 말하지 못했던 김미라 교수의
김미라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큰 아이가 어렸을 때부터 참 많은 육아서를 읽었어요. 아이들이 자라면서 부모는 더 많은 정보를 알아야 하고 더구나 아이에겐 그저 지식을 전달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닌 부모로서의 코칭의 역할이 중요함을 육아서를 통해서 조금씩 깨달아 가고 있답니다.
 
 아이에게 공부해라는 강요의 말보단 공부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이 중요함은 더 말해 무엇할까요?
이 책을 읽다가 솔직히 육아서는 많이 읽었을지언정 제대로 된 학습 코칭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아이에게 왜 지식만 전달하려고 했는지 모르겠어요.
아이에게 공부를 가르치는 엄마였다는 것이 조금은 부끄럽네요. 

아이에게 긍정적인 마인드를 이끌어주어라
 스킨쉽으로 교육효과를 극대화하려고 노력하라
새로운 것을 찾아내는 창의적 사고를 키워라
나와는 다른 ’생각의 차이’를 가르쳐라
부모의 생각을 아이에게 강요하지 마라


<가능하면 육체적 체벌은 멀리하라>고,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사랑의 매’는 오히려 화를 불러일으킨다>고 하네요.
어쩔 수 없이 체벌을 하게 될 경우라도 얼굴이나 머리 부분만은 때리지 마십시오. 꽃으로라도 얼굴이나 머리만은 때리지 마십시오. 불가피하게 꼭 필요한 경우에만 자존심을 덜 다치는 부분인 손바닥이나 엉덩이 부분을 체벌하십시오.자존심을 건드리지 않는 체벌은 아이를 교육시킬 수 있지만,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체벌은 교육적 효과가 없습니다.  <꽃으로라도 머리는 때리지 마라 >中에서

 제가 자란 세대엔 사랑의 매라는 이름으로 체벌을 정당화했지만, 요즘은 체벌은 몰상식하고, 비도적인 수단으로 통하는 것 같아요. 스승이 제자를 체벌하면 그 다음날 학교는 물론이고 인터넷과 언론은 온통 야단법석이 나죠. 아이들의 자존심을 다치게 한다면 사랑의 매가 아니지 않을까 싶어요.

EBS <60분 부모>에서 말하지 못했던 김미라 교수의 공부 심리학은 아이들의 학습 방향을 부모에게 알려주는 나침반 같은 책이랍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학습 코칭의 핵심은 당신의 아이에게 ’지적 호기심을 심어주어라!  라는 거죠. 지적호기심이 높은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고 해요. 아이의 머릿속에 지식을 넣어주는 부모보단 아이의 지적 호기심을 일깨우는 일이  더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란 것을 깊이 느끼게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