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개의 바둑돌 파랑새 사과문고 67
김종렬 지음, 최정인 그림 / 파랑새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가장 가까이 있기에 때론 가장 소중함을 잊고 살 때가 있지요. 그 상대가 바로 가족이 아닐까 싶어요.
 늘 함께 하기에 때론 서로가 편하게 생각하기에 서로에게 더 상처를 줄 가능성이 더 많다는 사실도 때론 잊고 지내기 쉬운 상대이지요.  
그런데 어느 날 자신의 가족 가운데 누군가가 훌쩍 이 세상이 아닌 다른 세상으로 다시는 볼 수 없는 곳으로 떠나게 된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 일어날 수도 있겠죠. 가끔 텔레비젼이나 영화나 소설 속에서만 일어날 것 같던 일들이 실제 현실에서 일어날 때 아마 떠난 사람도 남은 사람도 깊은 슬픔에 잠기게 되지 않을까요?

 이 책 속의 아빠는 주인공 주노의 기억 속에서는 그렇게 살갑지도 않고, 바둑을 좋아해서 주노는 아빠가 주노보다 바둑을 더 좋아한다고 생각하는 아이랍니다. 아빠가  한 번만이라도 주노와 야구장에 가는 약속을 지켰더라면 주노는 그런 생각은 하지 않았을 텐데 말이에요.
 아빠는 주노가 좋아하는 야구장 대신 기원에서 바둑 두기를 즐기는 아빠였고, 주노와 야구와 바둑 두 프로그램을 두고 채널 전쟁을 벌이다 결국 주노에게 손찌검을 하게 되는데 이 일이 주노에겐 잊을 수 없는 일로 기억되어 ’아빠랑 평생 말도 하지 않을 거야’라고 생각해요.

아빠가 떠난 어느 날 친구들이 주노를 피한다는 사실을 눈치챘어요. 아빠가 없다는 것은 다른 친구들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노가 싫어했던 아빠지만, 주노는 할아버지를 잃은 아빠의 슬픔만큼 슬프지도 않았고, 아빠를 잃은 슬픔을 알지 못했어요.

 갑작스런 아빠의 죽음으로 마음에 담아두었던 말을 차마 못한 주노는, 어느 날 아빠의 영혼과 만나요. 평소 싫어하던 바둑을 아빠의 영혼에게 배우면서 아빠를 원망했던 마음도 사라지고 가족과 친구를 이해하는 방법도 배우게 된답니다.

 아빠가 주노에게 알려 주고 싶은 것은 아마 바둑을 통해 전해주는 마음이 아니었을까요? 주노가 아빠에게 하고 싶었던 말을 아마 주노의 아빠는 다 알고 있을 것 같아요. 
가족이나 친구 사이의 관계도 바둑처럼 복잡하게 때론 어렵게 보이지만 차츰 알고 보면 차츰 더 깊어지는 것이 아마 닮은 듯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