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귀신 세종대왕 책귀신 2
이상배 지음, 백명식 그림 / 처음주니어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영어 사전 한 장을 다 외우면 꼴깍 먹어치우는 친구들이 있었다. 그런데 난 한 번도 책을 씹어 먹거나 태워서 먹어 본 적이 없다. 그래서  책은 무슨 맛이 있는지, 어떤 맛이 있는지 더 궁금해지는  건지 모르겠다.

  세종대왕이 책을 얼마나 가까이 하셨는지는 누구나가 다 아는 사실이다. 밥보다 책을 더 좋아하며 만 권의 책을 읽으셨다는 세종대왕이 책귀신으로 등장하는 것은 당연한 것 같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다른 시대의 평강공주와 온달이 등장한다. 물론 ’평강일기’라는 책을 통해서 만나기는 하지만 시대를 뛰어 넘어서 만날 수 있는 만남은 책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이 새삼 즐거움을 더해준다.

 세종대왕과 바보 온달, 800여 년의 차이를 두고, 다른 신분이었지만 책을 많이 읽어 두 분 모두 위인이 되었다. 지위와 신분에 관계없이 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은 결국 훌륭한 인물이 될 수 있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가난한 사람도 부자도 책을 가까이 하면 훌륭한 인물, 인성을 갖춘 사람이 될 수 있지만, 부와 가난을 핑계로 책을 멀리한다면 어떻게 될까?

 이 책에서는 책을 정작 좋아한 사람은 양녕대군이었지만, 형 세자가 건넨 평강일기로 인해  충녕대군인 도가 책벌레가 되어가는 이야기다.  "책도 맛있는 식사와 같다. 그래서 밥처럼 맛있게 먹는 거고, 책마다 그 맛이 다르고."라고 하셨다.

 평강 공주도 "책 속에 글은 여러 가지 맛이 있지요. 재미 맛도 있고, 눈물 맛도 있고, 우스운 맛도 있고, 호기심 맛도 있고, 없는 맛이 없을 겁니다."라고 하며 온달에게 을파소의 이야기를 들려 준다. 을파소의 지혜로움도 책으로 얻은 것이다. 

 종이를 태운 가루를 물에 타서 먹는 온달, 결국 온달이 어떤 인물이 되었는지는 잘 알려진 이야기다. 바보 온달을 온달 장군으로 만든 것은 결국 평강 공주와 책을 통해서였다. 

 밥보다 책을 더 좋아한 세종대왕은 살아서도 책귀신, 죽어서도 책귀신 지금도 무덤 속에서 안경을 쓰고 책을 들여다 보고 계시지 않을까?

 언제부턴가  내가 만난 세종대왕의 얼굴에 안경이 그려져 있었다. 아마 시력이 좋지 않은 세종 대왕을 위해서 안경을 선물해 드리고 싶은 마음들이 그렇게 나타난 것 같다.

 다른 귀신과 달리 책귀신은 우리들에게 지혜와 교훈도 주고, 무섭기는 커녕 오히려 즐거움과 재미를 주는 귀신이다. 이런 귀신을 만나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책귀신을 한 번 만나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