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불나불 말주머니 파랑새 사과문고 66
김소연 지음, 이형진 그림 / 파랑새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의 옛이야기에는 도깨비가 많이 등장한다. 도깨비는 어리숙하지만 우리를 해치거나 괴롭히기 보단 나쁜 사람을 혼내주고 착한 사람에게 복을 주는 그런 이미지로 많이 그려져 있다.
혹부리 영감이야기나 도깨비 방망이 이야기가 대부분 그런 것 같다.
이 책에 나오는 도깨비도 거의 비슷하다. 도깨비는 사람과 친근한 존재가 아닌가. 도깨비는 영리하지는 못하지만 때론 사람보다 지혜로운 것 같다.
 
 작가는 우리의 옛이야기를 단지 그대로 들려주기 보단 구수한 입말을 살려 작가의 상상력으로 재미있게, 마음 속에 무언가를 주고 있다. 하지만  작가는 이 이야기들이 도깨비와 알사탕을 주고 바꾼 이야기라고 한다. 도깨비와 알사탕을 주고 바꾼 이야기보따리에서 흘러 나오는 이야기, 혼자 서랍 속에 숨겨 두는 것보다 요즘의 아이들에게 꺼내놓은 이유는 뭘까?

 이건 순전히 내 생각인데 도깨비가 와서 알사탕과 바꾸자고 하기 전에 꺼내놓으면 도깨비도 어쩔 수 없기 때문이 아닐까. 그래도 우린 이렇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으니 얼마나 좋아.

 이 책에는 일곱 편의 이야기가 나와. 도깨비가 주인공인 이야기는 <짤막이가 마을로 간 까닭은? >이란 이야기인데 키가 몽당빗자루만 해서 짤막이라 불렀대.삼백살이 다 되도록 몽당빗자루 키 그대로 였다는 거야. 키가 크고 싶은 욕심에 사람 혼을 빼먹으로 마을에 갔는데 결국 사람들을 도와 주고 받은 밥 먹고, 옷 입고, 돈 넣고 한숨 자니 하룻밤새에 키가 훌쩍 자랐다는 이야기.

<세상에서 가장 값진 보물 이야기>에는 도깨비가 안 나왔다. 아무리 좋은 물건이라도 주인을 만나기에 따라 빛을 발하는 귀한 물건이 되는가 하면 주인을 잘만나지 못하면 값어치가 없는 평범한 물건이 되는 것 같다. 같은 물건이라도 주인에 따라, 사용하는 사람의 마음에 따라 다른 가치를 지니는 것 같다.

 <나불나불 말주머니>에서 만난 나무꾼은 도깨비에게 약과와 말주머니를 바꾼다. 말주머니 덕분에 뛰어난 말재주를 지니게 되지만 오히려 화를 부른다. 욕심이 과하면 화를 부른다는 옛말과 상통한다. 

옛이야기가 주는 재미와 교훈, 아이들의 인성 교육에도 좋다. <엄마 때려라! 아빠 때려라!?> 는 우리의 옛이야기를 작가가 새로 쓴 동화인데 자녀 교육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이야기였다.  아이들뿐 아이라 부모들이 함께 읽어도 좋은 동화집이다.


김소연동화집, 파랑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