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이에게 ㅣ 처음어린이 2
이오덕 지음 / 처음주니어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이 동시집을 쓰신 이오덕 선생님께서는 평생 동안 곧은 교육자로 살다 가셨답니다.
<우리 문장 바로 쓰기> <우리말 살려 쓰기> 등의 책을 펴내시고, 우리말 바로 쓰기에 앞장 서신 분이랍니다.
살아 생전 웃으시는 모습에 나타난 사진 속의 주름살도 자연의 모습처럼 편안하고, 아늑한 자연을 닮은 듯해요.
생전에 이오덕 선생님께서는 책을 펴내는데 이렇게 말씀하셨답니다.
....나는 비단 같은 말로 아이들을 눈가림하여 속이는 것이 싫습니다. 빈 말로 손재주를 부려서 시의 기술을 뽐내는 것도 참을 수 없습니다.
이 땅의 아이들의 참모습을 정직하고 진실하게 노래하면서 그들의 영혼을 살리고 싶었다는 이오덕 선생님, 좀 더 깊이 아이들의 삶에 파고 들어가는 것만이 시를 가꾸는 길이라고 하셨대요.
시는 아름다운 기교만이 빛을 발할 순 없지요. 가장 밑바닥에 진실성이 없다면 그 시는 공감을 얻을 수 없을 테니까요.
이오덕 선생님의 시는 아름다운 기교대신 순수한 아이들의 마음이 그대로 담겨 있어요.
자연을 아이들의 입을 빌어 노래한 그림 동시집이랍니다.
시골 아이들의 생활 모습을 노래한 시에서 자연은 모두 친구처럼 다정하게 다가오네요.
산아! / 너는 우리 엄마지?/ 너의 등에 업혀/ 나는 자랐다.//
......중략.........
나의 형제 다람쥐와 산토끼를 / 품에 안고 있는 산.//
헐벗은 옷/ 주름 잡힌 이마로/ 나를 지켜보는 산아!//
너는 우리 엄마지?/ 나는 오늘도 일하는 손을 쉬어/
낯선 집 창 밖으로/ 멀리 하늘 높이 솟은 너를/
그리운 엄마를 바라보듯/ 보고 있다.//
-산에게 中에서-
시골에서 자란 나는 이 동시들이 참 정겨웠어요. 감자를 캘 때 솔직히 작은 감자들이 버림 받을까 봐 애원한다는 생각은 해 보지 못했는데 이오덕 선생님은 ’ 자그마한 형제들이 애원하는 소리-/제발 우리도 주워 주세요. /데려가 주세요.//’라고 했어요. 그리고, ’....버림받을까 봐 웅크리고 있는 / 새알만 한 것, 콩알만 한 것들을/ 주워 담는 것도 기쁘다.’ 라고 노래했어요.
선생님의 따듯한 마음까지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어요.
연필선이 그대도 살아있는 잔잔한 그림과 자연을 노래한 서정적인 동시들이 아이들의 마음을 아름답고 순수하게 가꾸어 주는 이오덕 그림동시집, 철이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