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제트의 초록양말 파랑새 그림책 74
카타리나 발크스 글 그림, 조민영 옮김 / 파랑새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병아리 리제트가 발견한 초록 양말 한 짝. 리제트는 초록 양말 한 짝을 길에서 주우면서 "어머나, 오늘은 운이 참 좋은걸. 날마다 이렇게 예쁜 양말을 주울 수는 없으니까.!"라고 말하고, 얼른 초록 양말을 신었어요.
 친구들에게 자랑을 하지만 고양이 마투와 마토슈는 오히려 한 짝뿐인 양말은 쓸모가 없다고 놀려요. 그러나 친구 베베르는 양말을 머리에 모자처럼 썼어요.
마투와 마토슈는 나머지 한 짝을 찾아서 연못에 버리고는 양말이 도망을 갔다고 거짓말을 해요.
리제트 엄마가 짠 초록 양말 한 짝으로 둘은 초록 양말을 머리에 쓰고는 멋진 모자가 생겼다고 좋아해요.
연못에 버린 초록 양말 한 짝은 물고기 아저씨의 따뜻한 담요가 되었답니다.


양말은 두 짝인 한 켤레가 있으야만 신을 수 있고, 한 짝을 잃어버리면 나머지 한 짝은 쓸모가 없다고 생각하는 어른들의 생각과는 달리 아이들은 양말 한 짝으로도   새로운 것으로 변신을 시키기도 해서 어른들을 놀라게 하죠.
이 책의 주인공 리제트처럼.
초록 양말 한 짝이 모자로 변신을 하고 물고기 아저씨의 담요가 되는 아주 멋진 그림책이랍니다.

붓으로 굵은 테두리선 그림으로 그려진 그림들이 간결하게 표현되어 있지만 작가의 엉뚱하면서도 멋진 상상이 더욱 돋보이는 그림책이에요.

 지민이도 이 책을 처음 보았을 때 자꾸 보고 또 보고 계속 하루에 10번이상 계속 보여 달라고 하더라구요. 아이들의 시각에서도 이 그림책 속에 빠져들게 하는 것은 재미있고, 익살스러운 내용과 간결한 그림에 있는 듯해요.

양말은 발에 쓰는 물건일까요?
어른들은 다 그렇게 생각하겠지만 아이들은  양말이 발보다 손에 먼저 가는 것 같더라구요.
 지민이가 어렸을 때 양말을 손에다 끼고는 좋아 했던 기억이 지금도 나요. 그리고 양말 속에 지민이는 자기가 좋아하는 물건들을 넣고는 좋아하던 기억도... 양말은 때론 장갑도 되고, 주머니도 될 수 있다는 것이 아이들의 생각인 것 같아요. 
아이들의 상상력은 어른들의 고정 관념에서 사라지는 것 같아요. 고정관념의 탈피에서 상상력은 자랄 수 있으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