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도깨비 책귀신 1
이상배 글, 백명식 그림 / 처음주니어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책읽는 도깨비? 무슨 귀신 시나락 까먹는 소린가 싶어서 살짝 한 장 넘겨 보니 
책에 등장하는 인물은 사람이 아닌 고리짝도깨비가 주인공이었다.

  우리의 옛이야기 속에는 도깨비가 많이 등장을 하는데 
여기엔 고리짝도깨비와 빗자루도깨비, 공책도깨비가 나오고, 
거기다 안경쓴 세종대왕이 나온다는 게 좀 특이한 설정이다.
 은행나무에 주렁주렁 은행대신 돈들이 팔랑팔랑 나부끼는 돈나무 있다면 
세상에 얼마나 좋을까?  그런 나무가 있다는 상상만으로 아주 신이 날 것 같다. 
100년을 산 은행 나무 굴에 고리짝 도깨비가 구두쇠 영감의 돈을 가지고 나타났다. 
고리짝이 도깨비가 된 것이다.

도깨비들의 이별 인사는 서로 이마를 부딪쳐서 이마치기를 하는 거란다. 
고리짝 도깨비는 돈냄새를 좋아하고, 세상에 돈으로 안 되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돈 자루를 메고 고행을 떠나 명당(좋은 땅)을 차지하기 위해 장난을 친다. 
그러다 선비와 문답 겨루기를 해서 이긴 사람이 땅을 차지하기로 한다.
선비는 이곳(명당)에 무슨 집을 지을지 궁금....
선비의 ’인불통고금이면?’ 에 대한 문답을 찾기 위해 여학생에게 물으니
"세종대왕은 책을 밥보다 더 좋아했고요,
안중근 의사는 하루라도 책을 안 읽으면 입 안에 가시가 돋았대요"
하고 가르쳐 주었다.
세종대왕의  무덤에 찾아가 답글을 받아온다, 
세종대왕이 부탁한 책을  사기 위해 책방을 찾은 
도깨비들은 책방가는 기쁨과 책 사는 기쁨을 알게 된다.
또 한가지는 책 읽는 기쁨이라고 세종대왕이 알려준다.
결국 정해진 시간내에 답글의 뜻을 주지 못해서 도깨비들은 내기에 진 것을 시인한다. 
도깨비들의 열공, 책 속에 깊이 빠진 도깨비들을 보니 나도 모르게 기분이 좋아진다.
온달이 위영청 밝은 밤, 세 도깨비는 커다란 자루를 두 개씩 메고 명당자리로 달려간다.
그렇게 책 읽는 도깨비 도서관이 생기게 되었다.

 동화작가인 지은이는 도깨비에 대한 관심이 많아 도깨비를 주인공으로 한 동화를
 많이 발표했다고 한다.
도깨비가 사람의 모습과 닮아서인지 낯설지 않고 친근함이 든다.
멀리서 도깨비의 웃음소리가 내 귓가에 들려오는 것 같다.
책방에서 책을 읽자고 소리치는 도깨비들의 모습과 
책을 읽는 도깨비 도서관에서 열심히 열공하는 도깨비들의 모습을 상상해본다.
어디선가 지금도 열공하고 있는 도깨비들의 모습을 생각하니 나도 모르게 웃음이 난다.
캴캴캴


人不通古今이면 馬牛而襟据니라.
                  명심보감 ’근학편’

선비가 도깨비들에게 낸 선문답글이다. 
혹시 이 말의 뜻을 모르거나 궁금하신 분은 
책읽는 도깨비 도서관에 가서 도깨비한테
물어보면 자세히 알려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