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속의 노루 밤비 - 파랑새 클래식 2
펠릭스 잘텐 지음, 김영진 옮김, 윤봉선 그림 / 파랑새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밤비>는 노루의 일대기를 생생하게 담아낸 생태 문학이라고 한다. 하지만 디즈니의 만화영화 <밤비>에서는 사슴으로 알려져 있다. 숲, 생태계와 동물들, 인간의 관계를 그린 소설이다.

"태어나자마자 일어서다니 정말 놀랍네요! 신기하기도 해라! 살면서 이런 건 처음 봐요. ....어쨌거나 정말 훌륭해요. 이렇게 잘생긴 아기가, 지금 막 세상에 태어난 아기가 바로 일어서다니. 정말 대단한 일이에요.하긴 댁들 노루들이야 뭘 하든 항상 근사하고 우아하죠....."

 이 책을 읽으면서 까치의 말처럼 노루들이 참 신기한 동물이란 생각이 들었다. 토끼가 엄마 노루에게 밤비가 늠름한 제후가 되겠다고 한 말을 책장을 한 장씩 넘기다 보니 이해가 되었다. 어느 날 엄마는 사라지고, 아빠 노루는 처음부터 밤비 곁에 없었으니까. 엄마 노루는 아기 노루가 혼자서 커 갈 수 있을때쯤 떠나고, 아빠 노루는 제후가 되어 다른 노루들을 지키고, 보호하는 일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 제후들을 노루는 물론 다른 동물들도 자랑스러워 하고 존경 받는다. 숲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가장 무서운 적은 다름아닌 사람이라는 사실에 조금 충격적이다. 동물들은 사람에게 세 번째 손이 있다고도 말한다. 총과 총알을 의미한다.
그래서 동물들은 밤비처럼 <살아남는 법을, 그리고 조심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사람들은 사냥개로 동물 사냥을 한다. 여우가 개에게 
"우린 친척이잖아. 형제나 다름없다고. 제발 날 좀 놔줘. 집으로 돌아갈 수 있게 말이야. 내 가족들 옆에서 죽게 해 달라고. 우리는, 너랑 형제나 다름없어....."라고 소리를 질러도 안된다고 말하는 개와 "넌 변절자야, 배신자라고!" 라고 외치면서 죽어가는 여우의 모습이 머릿속으로 그려진다.
 사람은 전지전능한 신이 아니다. 사람은 자연을 지배하는 지배자도 아니다. 동물과 자연을 지배하는 지배가 되어서는 아니된다고 작가 잘텐은 말한다.
사람은 동물의 삶과 죽음을 가르는 존재가 아닌 함께 살아가는 존재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책에는 동물들의 삶이 아주 치밀하고 사실적으로  공포와 비극, 동물들의 죽음, 치열한 생존경쟁이 셈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늙은 수노루의 말 한마디가 오래도록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사람은 우리와 나란히 있을 뿐이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