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어디에 있나요? 제 말은 들리나요? 어쩌면 이건 나의 처음이자, 마지막 편지겠어요.”
책을 몇 번이나 덮었다가 다시 폈다. 한 문장만 더, 한 문장만 더, 그러다 숨이 막히면 다시 책장을 덮었고 숨을 크게 내쉬었다. 그리고 참을 수 없어서, 현실의 속도는 마음의 속도보다 빠르다던데, 지금 나의 마음의 속도가 현실의 속도를 추월해 나갔기 때문에, 나는 다시금 책장을 펼쳐 다시 끊어진 문장의 꼬리를 찾아냈다.
칼 세이건은 우주에 대해 생각할 때, 등골이 오싹하며 숨이 막힌다고 했지만, 내게 있어서는 이처럼 아름다운 문장을 대할 때, 우주에 대해 생각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체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의 아름다운 문장이란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그 둘은 다르지 않다. 내가 알기로 이 세상의 모든 아름다운 소설이란, 이를테면 단 한명의 여성, 내가 모르는 타자의 세계를 너무나 사랑했기 때문에 탄생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내가 아름다운 그녀의 세계를 상상하는 그 문장이 아름답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아름다운 소설은 아름다운 문장에서 나오므로.
나를 데려가우. 이번에는 진짜 바다를 내게 보여줍소. 사람은 무엇 때문에 살며 어떠한 사람으로 되며 사람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나는 잘 압지. 그러니 내게 진짜 바다를 보여줍소. 그럼 나는 숨이 다하는 그날까지 당신의 바다로 들어가는 작은 오솔길이 되겠슴둥.
내가 아는한 세상에 이보다 아름다운 사랑의 밀어는 없다. 그것은 말 그대로 너를 통해서만 나는 나의 바다를 볼 수 있게 된다는 말이었으니. 우리 모두가 도무지 하나의 온전한 이야기가 되지 못하는 현실을 살아가면서 소설을 읽는 이유가 거기에 있는 것이기도 했다. 길송이형의 물음마냥 니 누기야? 라고 물어왔을 때,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 우리가 속한 세계뿐만 아니라 우리가 모르는 그 세계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으므로. 때때로 너무나도 가혹한 현실, 농밀한 어둠이 우리를 덮쳐누를 때에도, 내 눈동자, 두 개의 검은 눈동자, 어둠을 보지 못하고, 또 믿지 못하는 두 개의 검은 눈동자는 어둠으로 보지 못한 다른 세계를 꿈꾸므로. 아름다운 암코양이 눈동자에서 시간을 읽는 남경의 중국인 소년처럼.
그 아우성들을 들을 때마다 나는 간도 땅에서 살아가는 조선인들은 죽지 않는 한, 자신이 누구인지 말할 수 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들은 경계에 서있었다. 어디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민생단도 되고 혁명가도 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그들은 항상 살아 있었다. 살아 있다는 건 다만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라는 것이므로, 시시때때로 운명이 바뀐다는 뜻이므로.
어쩌면 그들 모두는, 그리고 우리들, 그렇다 우리들은 삼나무 높은 우듬지까지 올라가본 까마귀처럼, 다시는 뜰로 내려 앉지 않을 수는 없으므로. 그 고귀한 진실, 그 모든 세계를 얻을 수는 없으므로, 우리는 차라리 한 권의 소설을 읽는 현명함을 안다. 언젠가 우리는 모두 우리를 잃을 운명이지만, 우리는 동시에 우리의 이야기였으므로. 이 역사에는 편입될 수 없는 잊혀지고 가려진 내밀한 삶의 이야기에 끌릴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그것이 왜 저 이야기가 아니라 이 이야기인지를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설명할 수가 없다. 그것은 사랑에 빠지는 일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리니까, 세상의 전부가 아니라, 바로 그 세계.
한때는 이 세상 전부를 원했지만, 이젠. 겨우 그 정도. 이제 내가 아는 세계의, 그러니까 거의 전부.
스바시바, 스바시바. 책장을 다 덮고 나서 아무리 외롭고 쓸쓸해지더라도, 우리는 꺄르르꺄르르 헤어져도 좋을 것이다. 그가 모르는 세계에 대하여 도저히 적을 수 없다고 느낄 때, 그는 결국 다시 소설을 쓰게 될 것이므로. 우리가 모르는 세계란 끝이 없으니, 그의 소설의 세계도 끝이 없으리라는 것. 김연수의 바다로 가는 오솔길이 있는 한, 우리는 다시 그의 바다를 보는 일이 가능하므로. 아, 그것은 참으로 넓고 아름다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