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가요? - 내가 쓴 글, 내가 다듬는 법
김정선 지음 / 유유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 쓰는 게 쉽지 않다. [이 한 문장을 쓰고 `게-것이`가 눈에 띈다. 저자는 `적의`를 보이는 `것들` 즉, `적` `의` `것` `들`은 습관적으로 쓰기 쉬우니 가급적(벌써 `적`을 두 번이나 썼다) 줄여 써야 한다고 했다] 

문장을 쓴 다음 무언가 걸리는 기분이 들 때면 이 책을 뒤적인다. (문제는 찾으려 해도 찾기가 쉽지 않다)

이 책에 적힌 좋지 않은 예를 너무 태연히 쓰고 있었다. 아무 의식 없이. 앞으로 잘 쓰리라 기대하기도 어렵다. 그저 '무언가 걸리는 기분이 들' 뿐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qualia 2016-06-29 05:3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문장 작법(글쓰기) 책들 대부분이 “적/의/것/들”을 되도록이면 쓰지 말라고 하던데요. 저는 이게 우습다고 생각합니다. 글쓰기 책들이 오히려 저런 습관적인 주장을 습관적으로 한다는 느낌입니다. 대체 그 근거가 뭐라는 것인지요? 근거가 설득력 있고 타당하다면 일부 받아들여서 참고할 수는 있겠지요. 하지만 제가 판단컨대 그 근거가 불분명하거나 매우 빈약해 보입니다.

저는 솔까 “적/의/것/들”을 의도적으로 즐겨 쓰기까지 합니다. 심지어 “~의 ”가 한 구절에서 서너 네댓 번 반복되는 명사구를 의도적으로 쓰기까지 합니다. 문법적/논리적으로 아무 하자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축약 표현을 가능케 하기 때문입니다. 영미권 유명 작가/철학자들 영어 문장에도 “~of”가 서너 네댓 번 반복되는 명사구가 많이 나옵니다. 이때 이걸 “~의 ”가 서너 네댓 번 반복되는 거의 동일한 형식으로 번역해도 괜찮습니다. 이른바 ‘직역투/번역투’라고 비판받는 사례 말입니다. 물론 좀 더 우리말답고 좀 더 가독성 높은 번역문이 가능하다면 “~의 ” 중복 문장을 고집할 필요는 없겠지요. 하지만 “~의 ” 중복 문장이 가독성에 별다른 장애가 되지 않고, 오히려 축약 표현을 가능케 한다면 얼마든지 반복 채택할 수 있는 것이라고 봅니다.

솔까말 “적/의/것/들”은 한국어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적/의/것/들”의 쓰임새와 기능은 아주 풍부하고 다양합니다. 해서 이것들을 쓰지 않고는 우리말 문장을 자연스럽게 쓰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해서 문장을 적법하고 매끄럽게 쓸 수만 있다면 “적/의/것/들”은 얼마든지 반복 사용할 수 있다고 봅니다. 실상이 이러한데, 습관적 주장을 철저한 분석과 타당한 근거 없이 습관적으로 반복하는 글쓰기 책들한테 무비판적으로 동의하는 건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훌륭한 글쓰기 책들을 폄하하는 게 아니라 그 책들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선별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죠.)

boooo 2016-06-29 09:03   좋아요 0 | URL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더 생각해 보겠습니다 ^^

cyrus 2016-06-29 09: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소한 문법을 잘 쓰려고 생각을 많이 하면, 문장 하나 제대로 쓰기 힘듭니다. ^^;;

boooo 2016-07-08 22:27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쓸 때마다 신경 쓰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