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꾼 증후군 - 불안과 우울 뒤에 감춰진 승자들의 심리학
해럴드 힐먼 지음, 김고명 옮김 / 새로운현재(메가스터디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저자는 현재 비즈니스 리더와 경영진들에게 리더십 코칭을 제공하고 있다. 

많은 리더를 만나본 그는 ​겉보기에 모든 것을 이루고 자신만만한 승자로만 보이는 이들이 리더의 자리에 오르는 순간 의 자리에 도달하는 순간, 불안과 우울 속에서 초조해하기 시작한다고 말한다.

자신이 남들의 기대에 못 미치는 인물인데 경영진은 그걸 모른 채 리더 자리에 앉혔고 지금은 다행히 숨기고 있지만 곧 정체가 들통날 것만 같은 조바심이다. 이 자리에 자신이 걸맞지 않는다는 불안감, 이것을 '사기꾼증후군'이라고 한단다.

책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으며 새로운 직장으로 옮기거나 책임자로 발령을 받는 등 누구나 부러워할 상황에서 자신의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는 강박감과 불안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사례를 보여주며 자세히 설명한다. 모두의 축하를 받는 자리에서 자기가 이 자리에 있어도 되는지, 스스로에 대해 의심을 갖는 인물들. 하나같이 상사나 주변 사람들은 '자네가 멋진 성과를 내기를 기대하네!'하고 추어올려주고 있지만 정작 본인들은 막막하기만 하다. ​

이를테면 자네는 '큰 잠재력이 있어'라는 기대감 가득찬 말에 대체 그게 뭘까 고민하는 미셸 등...

그래서 여러가지 형태로 그 마음을 숨기려 애쓰게 된다. ​

철벽 방어를 하며 사소한 비판에 과민하게 반응하고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다거나

임기응변을 하지 못하고 잘못 되는 길을 가지 않으려고 계산기만 두드린다거나

장벽 구축하여 인간적 교류 없이 로봇처럼 일만 한다거나.

사람에 따라 오만하게 굴러나 반대로 소심하게 행동하기도 한다.

형태는 다르지만 모두 자신의 본 모습을 숨기려고 애쓰는 가면의 모습이다. 저자는 이에 진실성을 추구하라고 한다.

그런데 진실성이란게 대체 뭘까... ​이것 역시 미셸에게 딱 와닿지 않는 표현이었던 잠재력만큼이나 막연한 표현이 아닌가. 게다가 누구나 어느 정도는 자신을 가장하고 살아가는 법이고 그게 사회징, 싶기도 하고.....

아무튼 이 증후군은 대개 내면의 비판자에 의해 키워진다. ​누구보다도 더 자신을 비판하는 내면의 목소리는 뭐든 똑바로 못하면 망신을 당할 것이며 하나라도 허점이 있으면 금세 정체가 들통나 망신을 당할 거라고 충고한다.

그래서 다시 저자가 들려주는 (조금은 더 구체적인 충고는) 비판자를 통제하고 응원자의 목소리를 찾으라는 것이다.

또한 불완전한 것이 정상이라는 점을 받아들이고 세상에는 확실한 것보다 모호하고 불확실한 것이 훨씬 많다는 점을 알고 회색지대를 헤쳐나갈 것 등등....

꼭 기억해야 할 점은 이건 감기처럼 흔한 증후군이니 나만 이모양이라고 자책하지 말고 쉬쉬하지 말고 공개하고 서로를 응원해주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