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하지 않은 곳에 대해 말하는 법 패러독스 10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피에르 바야르 씨의 이번 너스레 주제는 여행이다.

유명한 여행기,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부터 생각해 보자.

과연 마르코 폴로는 중국에 다녀왔는지 여러 면에서 의심스럽다고 한다. 진짜 중국에 갔다면 신기해서 이야기했을 만한 것들(전족이나 만리장성 등)을 언급하지 않았으며 문자에 관심이 많은 그였는데 한자의 존재도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동방의) 우리로선 듣도 보도 못한 파격적 손님 접대 성품속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음, 거 참 여행자한테 환상적인 곳이네, 하고 가보고 싶어할 법한 이야기를.

그가 유럽을 떠나지 않은 채 실제로 오간 사람들의 이야기만 듣고 썼으리라는 결론에 도달하는데, 아니 그렇다면 그 이야기를 실제로 들려준 사람들은 왜 마르코 폴로에게 전족이며 만리장성 이야기를 안 해줬을까? 어쩌면 실제 여행객들이 얘기를 했지만 그것들을 실감나게, 또는 환상적으로 전하지 못한 탓에 마르코 폴로가 별거 아니라고 느껴 책을 쓸 때 빼버리지 않았을까?

그렇다면 동방견문록에 제대로 된 정보가 들어가지 못하게 된 것은 마르코 폴로 탓이 아니고 그 무명의 진짜 여행객 탓인 것이다! 마르코 폴로는 상상을 보태고 마구 부풀러 사람들 구미를 당기는 내용으로 책을 꾸밀 능력을 갖춘 훌륭한 여행서 저자였는데 안타까운 노릇이지.

 

80일간의 세계일주의 포그 씨는 어떨까? 그는 진짜 여행자였을까?

80일 동안 전세계 여러 도시에 도착했지만 대개는 항구만 찍고, 뭍에 내린 건 단 한 번인데. 

그 한 번은 인도인데, 자신이 그 곳에서 해야할 일을 하기 위해 내렸다. 화형 당할 처지에 놓인 가여운 여인을 구하기 위해. 불쌍한 여인을 살려야 한다는 명백한 사실을, 다른 주민이나 여행객들은 간과한 진실을 왜 그만 깨닫고 행동할 수 있었을까? 어쩌면 그가 그 지역에 내려 익숙해지지 않고 여러 나라에 대한 지식만 늘리며 대충 여행한 덕분이라는 묘한 결론을 지을 수 있지 않을까? 그 도시에 섣불리 발을 딛고 사람들이 미리 정해 놓은 일치된 견해를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진정한 여행자로 남아 냉철한 시각을 유지할 수 있어서.

 

여행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중요한 수단인데 그것을 게을리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도 있다.

현장에 가지 않는 신문기자. 자기 집에서 파자마를 입은 채 관계자와 통화를 하고, 다른 자료를 찾아보고 TV 화면을 보고 기사를 작성한다. 독자들이 현장을 떠올릴 수 있을 만큼 자세한 묘사를 곁들여서. 그로써 독자들이 사건 당사자의 심정에 공감하고 현장을 실제 본 듯 느끼게만 한다면 무엇이 잘못이란 말인가.....? 상상력과 감성을 자극하는 문장력으로 사실을 효율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했는데! 

 

중간에 교통수단을 이용한 마나토너는 어떨까? 로시 루이스는 1980년 보스턴 마라톤에서 1등으로 결승점을 통과했지만 부정행위로 고소당해 우승을 박탈당한다. 중간지점의 진행요원들이 그녀를 보지 못했다고 했으며 마라톤 코스에 포함되어 있던 여대에 대해 루이스가 묘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녀의 죄목(?)은 상상력과 묘사력 부족이 아닐까? 마라톤 정신 때문이라고? 그게 뭔데. 첫 번째 마라톤 주자인 그리스 병사도 중간에 다른 교통수단이 있었다면 왜 그걸 거부하고 죽어라 뛰었겠나.(응?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보라구! ㅋㅋ)  그러니 그녀가 우승을 박탈당한 진짜 이유는 남들이 다 맘에 들어할 만한 스토리를 써내지 못한 탓이다.

 

우리(독자?)가 여행자들에게 원하는 것은 우리의 감성을 만족시켜주고 정말 희한한 얘길 들었어, 상상을 뛰어넘는 곳이네, 신기하다... 이런 느낌을 채워주는 이야기인 것이다. 여행자가  자기 발로 그 땅을 밟았는가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