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지도 - 대규모 전염병의 도전과 현대 도시문명의 미래
스티븐 존슨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주인공 소개>

존 스노 : 의사. 자수성가형 인물로서 마구잡이로 투여되던 마취를 정량화하여 명성을 얻었다. 콜레라가 번지자 당시의  주류 이론인 독기설에 의문을 품고 조사를 벌인 끝에 수인성 질병임을 밝혀낸다.

 

헨리 화이트헤드 : 콜레라가 창궐한 보르도 지역의 교구 목사. 처음에는 주류 독기설과 스노의 수인성설 모두에 반대했으나 여러 정황 증거가 스노의 설을 지지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받아들인다. 평소 쌓은 지역주민과의 유대관계와 해당 지역에 대한 토박이 지식을 활용하여 결정적 증거를 수집, 제공하는 도움을 준다.

 

인문과학서지만 마치 소설처럼 묘사되어, 감염지도가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흥미진진하게 이해할 수 있다. 위의 두 주인공에 공감하여 함께 마음 졸이거나 기뻐하면서. 

 

"자네하고 나는 그런 날(그들의 조사 결과가 모두에게 인정 받는 날)을 보기 전에 죽겠지. 그런 날이 와도 내 이름은 완전히 잊혀졌을 걸세. 하지만 대규모 콜레라 발생이 까마득한 과거의 일로만 여겨지는 그런 날은 반드시 올 거라네. 그리고 질병의 전파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 바로 질병 박멸의 수단이 될 것이네."

존 스노가 화이트헤드에게 한 말인데, 이 말이 얼마나 슬프게 느껴지던지. 정말 완전 감정이입을 했던 모양이다. 화이트헤드는 장수한 덕에 죽기 전에 공로도 인정받고 훗날 다시 콜레라가 창궐하자 고문역을 하게 되지만, 스노는 요절한 탓에 수인성 이론이 인정받는 모습을 보지 못하고 죽는다. 요절의 이유가 마취제를 연구할 때 스스로에게 생체실험을 했던 때문으로 보인다니, 더 슬퍼. ㅜ.ㅜ

 

1800년대 중반 영국에서는 (아마 서구 전체가 그랬을 것) 독기가 질병을 옮긴다는 확신이 주류 이론이었다. 환자가 발생하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독기를 차단하는 일이었다. '독기'를 확인하는 지표는 '악취'였다. 일상적으로 가장 악취를 내는 것은 물론 '똥'이다. 아, 책 첫장부터 분뇨처리인, 똥 치우는 얘기가 막~ 나와서 '으, 밥맛 떨어져!'라고 느(꼈....으나 실제로 밥맛은 떨어지지 않았지만)끼며 읽기 시작했다.

적당히 구덩이를 파고, 또는 커다란 지하실에 모아뒀던 똥을 분뇨처리자를 불러 퍼내는 식이었는데 도시가 거대해지고 밀도가 높아진 데다 독기론 신봉자가 도시 정책을 맡으면서 분뇨를 포함한 하수를 템스강으로 흘려보내는 시스템을 만든다. 차라리 분뇨만 따로 모아뒀다 퍼가는 예전 방식이 나았으려나. 결과적으로 보면 완벽하지 못한 하수시스템에 흘러들어간 감염자의 분뇨는 그 지역에서 물맛이 좋기로 소문난 우물에 스며들었고 그 탓에 맛좋은(!) 물을 마신 이들을 집단 감염시키는 지경에 이른다.

지금 우리 생각으로는 몇 가지 데이터만 보여주면 아, 오염된 물이 원인이었구나, 끄덕일 것 같지만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설명하듯 패러다임을 바꾼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두 사람이 아무리 확실한 사례를 모아도 그러니까 '독기론'이라며 무시당하고 만다.  이를테면 공기가 맑은 곳에 사는 부인이 그 물을 공수받아 마시고 콜레라에 걸린 사례가 있는데, 정책담당자들은 공중에 떠도는 독기가 너무 강력해서 깨끗한 물까지 더럽혔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그래서 인과관계와 질병의 전파 경로를 한 눈에 보여주기 위해 고안한 것이 바로 책 제목이기도 한 '감염지도'이다. 거리의 지도에 우물 위치를 표시하고 감염자 발생 수치를 표시한 지도.

 

자, 지도가 완성되어 - 아직 몇몇 고집쟁이들은 똥고집을 부리지만 - 대부분은 수긍하게 되어  대단원의 막을 내리리라, 아니면 과학의 방법이나 전염병의 발생과 진화에 대한 고찰이 이어지리라 생각하는 순간 이 책은 저자의 독특한 관점에서 도시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첫 째는 두 주인공이 이 분야에서 아마추어 토박이였다는 점. 스노는 사실 의사기는 했지만 전염병 전문은 아니었고 화이트헤드는 더더욱 문외한이었다. 저자는 그들의 끈기도 중요하지만 토박이였다는 점도 높이 산다. 외부에서 잠시 들러 조사하는 타지인들에게는 보이지 않던 현실을 느낄 수 있던 것이다. 이 관점은 현대 도시의 정보망은 토박이 아마추어들이 멋지게 구축하고 있다는 이야기로 이어진다. 다른 분야에 일가견이 있는 사람들이 함께할 때 시너지효과도 고려했을 때 전문가들이 아마추어의 말에 귀를 귀울여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는 얘기다.

둘째는 도시 자체에 대한 고찰. 멀리 떨어져 사는 것보다 오밀조밀 모여사는 편이 생태발자국이 작다나. 이 얘기엔 아무래도 끄덕여지지가 않네.  아무튼 150년 전보다 훨씬 밀도가 높아진 도시가 품고 있는 여전한 위험과 새로 등장한 위험 요소를 생각해본다. 여전한 위험이란 언제 터질지 알 수 없는 전염병이다. 다음 요인은 도시 문명 자체를 이용한 테러. 911테러를 도시 문명 자체를 이용한 고효율(!) 테러로 볼 수 있다. 과밀하게 사람들을 집중시키는 고층 빌딩, 문명의 작품 비행기가 없었으면 그만큼 효과적이지 못했을 테니 말이다. 스노의 지도 덕에 여전한 위험인 조류독감은 미리 예방책을 내놓을 수 있지만 다른 위험인 도시 문명 자체를 이용한 테러에는 속수무책이다. 다른 지도들과 달리 테러위험 지도는 그려두어도 소용에 닿지 않는다.

역시 인간이 만들어낸 것들은 인간의 예측을 비웃는 독창적(!) 문제를 낳는 법. 더불어, 생산도 폐기물 처리도 도시 내에서 해결할 줄 모르는 거대도시의 생태발자국 계산도 다시 제대로 해봐야 한다고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