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기자 아손, 100년전 한국을 걷다 - 을사조약 전야 대한제국 여행기
아손 그렙스트 지음, 김상열 옮김 / 책과함께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도 스웨덴은 우리와 그닥 가깝지 않은 나라인데, 100년 전에 이 땅을 걷고 보고 듣고 체험기를 남긴 스웨덴 인이 있었다고 한다.

을사늑약을 앞둔 겨울, 아손이라는 스웨덴 기자는 도쿄에서 지루해하고 있었다. 그는 전쟁의 모습을 취재하고 싶어서 동아시아까지 온 거지 평온한 도쿄에서 지내기 위해 온 게 아니었다. 일본 관리들은 웃는 낯으로 꾸벅이고 애매한 약속의 말을 남겼다. 하지만 서양 기자들이 실제로 전장을 볼 기회는 결코 주어지지 않을 상황이었다.

아손은 속임수를 쓰기로 한다. 장사치로 신분을 위조하는 것이다. 그 계획은 제대로 통해서 그는 드디어 조선땅에 상륙하게 된다. 연말 즈음 도착해 한 달 남짓, 몹시 추운 서울에서 그는 참 많이도 돌아다니며 이것저것 기록으로 남긴다. 왕실 장례식도 보고, 감옥도 구경가고, 강화도에 가서 전등사 주지도 만나보고.  

100년 전 작은 동양나라의 낯선 문화에 대한 소중한 기록이자,  우리 입장에서도 그 당시에 대한 많지 않은 민간의 기록이기도 하다. 잠시 후면 일본에 먹혀버릴 것이 명백한 나라를 딱하게 바라본 씁쓸한 여행기이다. 아손의 문체에 순간순간 유머와 재기가 흐르지만... 그의 눈에 비친 조선은 서양 기술을 받아들이고 부지런히 조선을 삼킬 준비를 하는 일본에 비해 너무나 낙후되었고 사람들은 게으르기만 한 곳이었다. 준비 없이 근거없는 낙관적 태도만 보이는 민족으로 비춰진다. 조선 사람들은 일하기를 너무 싫어한다는 일본 사람들이 평이 과연 틀리지 않더라는 듯한 묘사에 나, 이거 창피해해야 하나 갈등하다 가냘프게 반론을 해본다. 겨울이니까 그렇지이~ 하고.

겨울의 우리의 대표적 문물로 떠올릴 수 있는 온돌은 영 마음에 안 들었던 모양이다. 코레아 사람들은 밤이면 방에서 빵처럼 구워진다나. 빵이든 핫케이크든, 온돌에 구워지는 거 기분 좋은데 이 아저씨 그 맛을 모르시네... 쩝.

미신도 엄청나게 믿고 맨날 귀신을 무서워하고, 병에 걸리면 무당에게 의존하거나 엉터리 의학에 매달려 어이없는 처방 끝에 죽게 되고. 부정적 묘사도 꽤나 많다.

그런데 미신과 원혼을 두려워하는 건 일본도 만만치않았을 텐데.... 일본에선 서민들을 못 만나고 식자들의 얘기만 들었던 거 아냐?

어쨌거나 이 책에서 또 중요한 부분은 조선인들을 학대하는 일본에 대한 증언이다. 그리고 그런 일본의 속내를 간파하고 미워하면서도 힘없이 당하는 가련한 모습도 묘사하고 있다.  

일본이 자기네를 따라잡으려는 꼴이 보기싫었던지, 원래부터 일본에 좋은 인상은 아니었던 듯 한데 막상 조선 땅에 와보니 상상을 초월하더라는 말이지. 일인들은 조선인을 노예나 짐승처럼 다룬다고 하며 아손은 몹시 분개한다. 그러나.... 자기가 아무리 흥분한다고 해도 양자의 주종관계(?)는 더욱 심화되고 조만간 이 나라는 지구상에서 사라지리라고 생각했던 듯도 보인다.

저자가 쓴 부분의 뒤를 이어서 한 마디 보태면, 일단은 당신의 예상대로 진행되었지만

종국에는 우린 살아남았다오~

우리 힘으로 독립을 한 게 아니라 국제 정세에 의해 어쩌다보니 광복이 주어졌니 뭐니 하는 말도 있기는 하지만, 얼마나 터무니없는 체급 차이가 있었는지 상세히 보고 나니..... '버티느라 애들 많이 쓰셨어요, 어르신들'이라고 하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