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 구효서 장편소설
구효서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겐타로는 친구의 강권에 아르바이트를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은폐되고 폐기되는 문서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고 그 중 하나인 윤동주에 얽힌 원고를 찾아 먼 길을 떠나기에 이른다.

그 원고에는 반항심 가득한 소녀가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보고 들은 과묵한 청년 윤동주의 이야기가 있었다. 그리고 윤동주가 처음에 우리글로 썼다가 경찰의 강압으로 직접 일본어로 옮긴 번역본 시가 있었다.

 

사실 이 책에는 화자가 둘이다. 겐타로가 원고를 찾는 과정을 이야기하고

그 원고에서는 요코라는 소녀가 자신의 이야기와 동주의 이야기를 나란히 풀어가고 있다.

요코는 아이누(홋카이도에 사는 소수민족)인데 그 사실을 모른 채 나가사키에서 학대당하며 살던 소녀. 가출해 도착한 교토에서 동주를 알게 된 것이다. 

겐타로는 재일조선인인데, 자이니치인게 내 인생이란 무슨 상관? 이라는 태도로 살던 청년.

즉, 세 사람의 이야기가 교차해서 진행되는데 그들 셋의 공통점은 모국어의 상실을 겪었다는 점이다.

겐타로가 좇는 원고뭉치는 저항시인이라는 별칭에서 저항이 아닌 시인에 방점을 찍고 아파하는 윤동주의 교토시절을 돌아보게 하는 기록이었다. 그에게 시란 어떤 의미였는지, 우리말을 지킨다는 것은 무엇인지, 간도에서는 어떤 상실을 겪었는지를 알게 된 후 겐타로와 요코는 달라진다. 

 

경향신문에는 요즘 고은 시인 인터뷰가 실리고 있는데 마침 이번 토요일자에는 일제의 한국어 말살 정책 이야기가 등장했다. 식민통치 후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조선어 말살정책을 펼치기로 한 일제는 조선인 스스로 제 말을 없애달라는 호소문을 제출하게 했단다.

그리하여 친일 작가들은 이런 청원을 낸다.

'총독각하! 내선일체 동조동근 그리고 대동아공영을 위하여 낡은 조선어를 폐지하고 문명의 국어시대를 열어주소서' 운운~~

그러면서 인터뷰 기사에서는 호주 작가 데이비드 말로프의 말을 들려주는데 당시 윤동주의 심정이 이렇지 않았을까?

"내 모어가 더 이상 사람들의 입속에서 살아있지 않다는 생각을 할 때 나 자신의 죽음보다도 더 깊은 전율이 나를 휩쓸고 지나간다. 내 종족의 죽음을 모두 합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늘 조용하고 과묵하던 윤동주가 한 번 핏대를 세우는 장면이 있다. 거기에서 윤동주는 이렇게 열변을 토한다.

"이제는 조선의 말까지 빼앗아 머리도 가슴도 모두 일본제국의 사악한 본성에 부복하도록 만들자는 거 아닌가. 대포나 총칼보다 무서운 게 너희들의 국어라는 무기야.

말이 같아야 한다고? 같아지는 게 아니라 빼앗기는 거지. 말을 빼앗기면 다 빼앗기는 거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