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뉴스
김중혁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용지물 박물관

발명가 이눅씨의 설계도

에스키모, 여기가 끝이야

멍청한 유비쿼터스

회색괴물

바나나 주식회사

사백 미터 마라톤

펭귄뉴스

 
노르웨이의 숲에서 와타나베의 룸메이트가 지도 만드는 일을 하고 싶어했지, 아마? 주인공은, 아니 무라카미 하루키는 룸메이트의 꽉 막힌 면을 답답해하는 한편, 지도에 흥미를 가진다는 자체를 비웃었다고 기억하고 있다. 이 단편집에서 지도를 만들거나 보정하는 일을 하는 등장인물들을 보며 기분이 좋아졌다. 하루키가 이름조차 주지 않고 비웃어버린 부류의 이들이 여기와서 주인공이 되어 있다는 게 왠지 그냥 뿌듯해서.

물론 지도를 만들지 않는 등장인물들도 좋다.

눈에 보이는 것에 의존하지 않고 보이는 것 이상을 설명해주는 메이비도 좋고,

필요를 발명하는 이눅 씨와 그의 집이 날기를 바라는 사진기자의 만남도 재미있다.

멍청한 유비쿼터스의 침입자는,,, 허가받은 침입이었다는 진실이 어쩐지 실망스럽긴 하지만 뭐 재미있었으니 나쁘진 않아.

회색괴물의 먼지냄새와 바나나주식회사의 어릿어릿한 분위기도 맘에 들고.

그런데 마지막 두 편은,,,, 난 어린 주인공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걸 확실히 깨닫게 해주데. 아무래도 내겐 좀 지친 사회인의 이야기여야 와닿나봐.

그런면에서 '에스키모, 여기가 끝이야'에서 하는 소리들이 많이 위로가 된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 바로 지도가 취미이자 특기이던 치이다.
현재는 빚더미에 앉아있고, 혼자 남겨졌고, 지칠대로 지쳤다.
만담을 들으며 씁쓸해하는 장면에서 사람들은 같은 이야기 속에서도 제각기 다른 부분들 보고 듣고 느끼는 거구나, 새삼 생각했다.
나도 이 이야기에서 심히 공감해버린 문장은 따로 있지만, 그건 왠지 혼자 간직하고 싶고, 아래 문장도 조금은 맘에 든다. (공감은 안되지만) 이 문장이 참이었음 좋겠다.
 
에스키모들에게는 '훌륭한'이라는 단어가 필요없어. 훌륭한 고래가 없듯 훌륭한 사냥꾼도 없고. 훌륭한 선인장이 없듯 훌륭한 인간도 없어. 모든 존재의 목표는 그냥 존재하는 것이지 훌륭하게 존재할 필요는 없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