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콘서트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1
팀 하포드 지음, 김명철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어쩌면 우리들 대부분은 시장경제의 세계에서 태어나 자랐으면서도 경제학과는 담을 쌓고 살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근엄하고 알 수 없는 표현으로 가득 차 있는 듯한 경제학은 우리들의 실생활과 별 관련이 없어 보이기도 한다. - 옮긴이의 말 중에서 -
 

대부분이 그런지 어쩐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나는 그렇다.
경제학 책은 내가 읽어낼 수 없는 종류의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오호,,, 이 책은 어찌나 재미있던지. 

커피 가격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저렴한 매장과 비싼 매장의 차이,
중고차 시장에서 좋은 중고차를 찾을 수 없는 이유,
참담하게 실패한 경매와 멋지게 성공한 경매의 실례,
어떤 독재가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까 등 한번 읽기 시작하면 해답을 들을 때까지 손에서 놓을 수 없는 이야기들이다. 

책 속 흥미로운 이야기 중 두토막만 정리해 본다. 

첫번째 :

정부의 탈황시설 설치 요구에 대해 발전소는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며 난색을 표한다. 그런데 정말로 그들이 말하는 만큼 많은 비용이 드는 것일까.

EPA(미국 환경부)는 이산화황 배출권을 경매에 부쳤다. 발전소 측의 주장대로라면 적어도 톤당 250 달러는 들겠다고 추측했지만, 톤당 70 달러까지 떨어져도 업체들은 배출권을 사느니 탈황장치를 하는 쪽을 택했다. 탈황설비가 사실 그렇게 많은 돈이 필요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경매를 통해 증명되었다.


두번째  :

세계 모든 나라들이 모두 의료보험은 골칫거리이기만 한 줄 알았는데, 싱가포르는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그건 궁금하면 책을 읽어보시고, 영국의 예가 엽기적이더라.

영국의 의료보험 시스템은 국가가 주도한다. 국민은 거의 무료로 의료 서비스를 받는다. 당연히 초만원이고 오래 기다리며 국가가 정하고 의사가 권하는 치료를 받아들여야 한다. 치료비 지급 여부는 국립임상연구소(NICE)에서 경중을 판단하여 결정한다.

시각장애를 막을 수 있는 광역학요법에 NICE는 처음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모든 치료에 지출할 수는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왕립시각장애인협회는 이 치료의 지급함을 주장해야 했다. 맹인으로 1년 사는 것이 앞을 보고 1년 사는 것보다 못하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받아들여진다면, 맹인과 시력있는 사람이 똑같이 긴급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한 명만 살릴 수 있는 상황이라면, 더 가치있는 시력있는 사람을 살려야 한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래서 그들이 선택한 것은,  양눈 모두 시력을 잃게 되는 상황이라면 한 눈만 광역학요법을 시술하게 하는 방법이라는 당황스러운 이야기. 
 

뒷부분의, 비교우위론을 근거로 한 자유무역만이 살 길이라는 얘기나, 환경오염이 저개발국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설은 엉터리라거나, 하는 부분은 미심쩍기는 하다. 어쨌든, 거의 뒤에 있는 그 얘기를 넘어 마지막 페이지까지 다 읽었다는 게 뿌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