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오천년 우리 과학
이영민 지음, 전병준 그림 / 계림닷컴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는 made in korea가 붙으면 무조건 질 좋은 것으로 인식이 된다. 과거에는 미제, 일제, 프랑스제 등등이 붙으면 좋은 물건 명품으로 선호 했는데 이제는 티셔츠 한장을 사 입어도 made in korea가 붙으면 가격도 올라가고 그래도 잘 산 물건이라는 인식이 커지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이제는 과거에 우리가 좋아했던 것들에는 전통도 없고 가벼워 보이고 무게가 없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의 물건들에서 느껴지는 것들에 숨겨져 있는 과학을 보고 나면 새삼 옛 사람들과 옛것을 다루고 전통으로 이어가는 분들을 보면 존경심이 일기도 한다. 옛날에는 천하다 여기던 일들이 지금은 얼마나 소중한 것들이 되어 있느냐 말이다 

이 책은 초등학생들이 알기 쉽게 전통적인 방법으로 살아온 우리 것들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친환경적이고 사람에게 꼭 필요한 것들인지 ...그리고 우리가 자연에서 취하고 또 자연으로 돌려보내지는 방법들이 얼마나 현명한지를 알려준다  

 - 마을의 만능박사 숯
 - 무공해 천연 재료 짚
 - 살아 숨쉬는 생명의 그릇 옹기
 - 팔만대장경이 썩지 않은 이유-옻나무
 - 이것이 진짜 발효 식품 장
 - 비타민 영양제가 필요 없어요 나물
 - 귀신도 탐을 낸 모시비단보다 고운 종이 닥종이
 - 직선이 만드는 아름다운 곡선 기와
 - 원적외선이 들어 있는 흙 황토
 - 인류가 가장 먼저 사용한 금속 그릇 유기
 -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 인쇄술
 - 냉장고가 필요 없어요 소금
 - 세계에 진출한 건강 식품 김치
 - 한 가지 염료로 백 가지 색을 내는 쪽빛
 

몇년전 생활사박물관에 옷에 황토를 염색하는 곳에 가서 티셔츠, 속옥, 양말 등 하얀것들을 가져가서 황토물을 들이고 황토를 얻어와서 집에서도 염색을 한 적이 있다. 할 때는 너무 많이 짜고 널어서 말리고 하는걸 반복하다 보니 힘도 들고 관절염에 걸릴 것 같은 생각이 들었으나 그 옷을 입는 내내 고슬고슬하고 원적외선이 나오는 것 같고 뿌듯했던 기억이 난다. 

우리 전통은 이용하려고 할 때 힘이 들지만 일단 만들어지면 오래가고 정감이 가고 애정이 쏟아지는것도 사실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대비문제 6학년(8절) - 2010년 7월 13~14일 예정 전국 동시 시행
두산동아 편집부 엮음 / 두산동아(참고서)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국가성취도평가대비하여 6학년 아이의 참고서로 구입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어린이작가정신 클래식 7
루이스 캐럴 지음, 리스베트 츠베르거 그림, 한상남 옮김 / 어린이작가정신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작은아이 5학년 겨울방학에 권장도서여서 비싼가격에 구입했다. 가끔은 어른을 위한 동화도 있고 그림이 좋아서 구입한 경우도 있고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를 에니메이션으로는 보아서 내용을 모두 알고는 있지만 책자로 내용은 읽은것 같지 않아서 구입했는데 6학년 선생님께서 아이가 읽고 쓴 독서록을 보시고 "엘리스를 읽기는 좀 나이가 먹은거 아닐까?"하는 댓글을 달아주셨다.  

엥? 산지 얼마안되는 책인데...그래서 내가 제대로 구입한 책인지 읽어보았다. 에니메이션으로 아이들이 아주 어릴적에 읽어주던 이야기이지만 재미도 있고 그림도 예쁘고 좋은것 같다. 

엘리스가 언니 무릎은 베고 낮잠을 자면서 꾼 꿈이야기로 아이들이 환상이라는 순수세계에 빠져볼 수 있는 내용으로 아이들에게 이런 상상하는 세계가 없다면 얼마나 삭막할 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이 책은 어른이나 아이나 청소년이나 꿈을 꾸고 싶다면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인혜의 꿈이 무엇이든 공부가 기본이다!
이인혜 지음 / 살림Friends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아주 마음에 와 닫는 것이라서 책을 구입했다. 아이들에게 꼭 해주고 싶고 항상 강조하는 말이기에 지금 해야할 일이 공부이고 지금 최선을 다할 일은 바로 공부이기 때문이다. 다른일을 한다고 지금을 소홀히 보낸다면 다음에 진정 하고 싶은 일을 하려고 할때 마음먹은대로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날 그날을 최선을 다 해서 사는 모습은 지금 할일이 무엇인지 깨닫고 지금 할일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역부터 출발했다는 연기자이지만 잘은 모르던 이인혜였다. 하지만 그녀의 행동을 보았을 때 참 현명한 방법으로 삶을 살아간다고 느꼈다. 지금 그녀가 젊은 나이에 교수가 된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가 않다. 항상 열심히 살고 그때 그때 자신이 할 일이 무엇인지를 알고 살았다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그녀를 닮아보라고 하고 싶지만 그건 욕심인것도 같다. 자신이 하는 일은 자신만이 결정할 수 있고 즐길 수 있고 성취하고 이루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아이들의 99%는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그녀가 그토록 열심히 했던 행위들은 삶을 보람있게 살고자 하는 이들이 배웠으면 하는 바램으로 책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숙씨의 소설은 세심함과 함께 세밀화를 보는듯한 묘사가 주인공을 옆에서 관찰하는 느낌으로 책을 읽는다. 일주일에 하루는 신발도 꿰어보지 않고 뒹굴방글하며 읽고 싶은 책 읽고 아이들 간식 해 주며 지나가야 다음 주 일주일을 잘 보낼 수 있는 에너지가 생긴다. 어제 오늘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에 빠져서 그런 1주일의 마지막 혹은 첫주일의 첫번째 단추를 잘 꿰고 있다. 

그리고 작가와는 시대적 공간적인 배경이 같은 시대와 장소를 가졌기 때문인지 책 내용의 배경이 눈에 그려지듯 그 시대가 그대로 그려진다. 80년대 중반 그리고 90년대 초반,,나의 공간도 서대문 광화문 시청, 종로 그리고 90년대 초반은 동숭동 마로니에 공원...주인공이 살았다는 동숭동을 젊은 혈기에 막걸리 마셔가며 소리질려대던 그 거리들... 

이 책에는 단 한마디의 쌍스러운 욕도 나오지 않는다. 감수성이 예민한 주인공들이 관계와 관계를 맺어가며 사랑이라는 감정도 외로움이라는 감정도 절망이라는 감정까지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자신들의 내면의 힘겨움을 이겨내고 때로는 가까운 이의 죽음 앞에서 힘겨움을 내뱉지 못하는 그런 감정들이 조금씩 조금씩 해소되어가는 느낌이랄까? 아니면 그냥 묻어둔다는 표현이 더 맞을까? 정윤, 이명서, 단이, 윤미루 그리고 미래누나와 미래누나가 찾아다니던 그..그리고 에밀리 디킨슨이라는 고양이, 윤교수...모두가 목소리 크고 시끄러운 것들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라서 책을 읽는 내내 조용한 심상에 젖어들 수 있고 차분해지는 느낌을 가졌다. 

20대에게 가장 해주고 싶은 말 '오늘을 잊지 말자' 와 '내가 그쪽으로 갈게'라는 말을 하는 사람이 되었으면 하는 작가의 바램이 표면적으로 청춘을 살아가는 이들이 마음에 새기는 단어로 각인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