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좋은 사람
줌파 라히리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에 남자친구랑 헤어진 친한 친구랑 저의 대화의 대부분은 이래요. 

"야, 이번에 정우성, 임수정 나오는 CF 봤냐? 애틋한 옛사랑의 그림자래. 애틋한 거 좋아하시네."
"애틋한은 얼어죽을. 옛사랑은 다 @#@%^&*#%!#@GR#야."
"맞아. 남자들은 다 @#$%^&야."
"남자들 다 #$%^&*( 해버려라."

정말 영화나 드라마, 특히 노래 가사와 우리의 현실은 참 많이 다른 거 같아요.
이별 노래 가사에서는, 정말 사랑이란, 이별이란.. 슬프도록 아름답고, 숭고하고, 희생적이면서도 마음에 오래도록 남는.. 특별한 뭔가가 있을 것처럼 말하는데. 정말 현실과는 너무 너무 거리가 먼 거 같아요.

하지만, 또 이런 현실을 그대로 영화나 드라마, 노래로 만들 순 없겠죠.
그럼 너무 재미없을 테니까요. 자극도 없고, 감동도 없고, 구질구질하기만 하고.
(이를 테면, 머리에 총알이 박혀서 오늘 내일 하면서도 "나랑 밥 먹을래? 나랑 사귈래?" 이런 소리를 할 수 있는 로맨스. 그건 드라마에서나 가능한 거잖아요.)

하지만, <그저 좋은 사람>은 정말로 현실이예요.
거기에는 출생의 비밀을 간직한 채 사랑에 빠지는 남녀도 없고, 부모의 반대를 무릅 쓴 결혼도 없어요. 우리를 둘러싼 가장 가까운 현실-특히 가족과의 관계-을 섬세하게 그려내죠. 이기적인 자녀들의 속마음과 이제는 늙고 지쳐버린 부모, 혼자만의 시간을 손꼽아 기다리는 유부남, 무책임한 연인과의 한심한 연애 따위를 말이예요. 

우리의 일상을 이렇게 섬세하고 깊이 있게 그려낼 수 있다니! 잔잔하면서도 한 순간도 지루하지 않고, 일상적이지만 깊이가 있어요. 감성적이지만 감상에 빠지지는 않아요. 번역도 참 잘한 것 같아요. 오타는 몇 개 있지만.
 

책을 끝까지 읽고 책장을 덮자, 마음에 손가락으로 꾹꾹 누른 자국이 남아있는 것처럼, 묵직하고 아련한 무언가가 남아요.
줌파 라히리의 다른 작품들도 후딱 사 봐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저 좋은 사람
줌파 라히리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잔잔하지만 한순간도 지루하지 않다. 일상적이지만 한순간도 감동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라운
주노 디아스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드라운>은 모두 10편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연작소설의 형식을 띄고 있다는 것이 흥미롭다. 10편 중 4편이, 명확하게 같은 주인공을 내세우고 있다. 돈을 벌러 미국으로 홀로 떠났던 아버지를 따라 도미니카에서 미국으로 이주하게 된 유니오르 가족- 주인공 유니오르와 여자만 보면 환장을 하는 라파 형, 그리고 조용하지만 다부진 엄마, 우악스럽고 다혈질인 아빠가 그들이다.  

나머지 6편도 주인공의 성격이나 환경이 비슷해서 10편 모두 주인공이 같다고 생각해도 무방할 듯 하다. (모두 자기 얘기인 듯하다. 특히 도미니카에서 보낸 어린시절은. 그리고 인터뷰에서도 그렇게 말했다.)

<옮긴이의 말>을 보면, 작가가 어디선가 '웃음과 가슴 찡한 감동을 함께 선사하는 것이 최고의 이야기라고' 했다고 하는데, 정말이지 주노 디아스의 작품은 이 두 가지가 완벽하게 공존하는 느낌이다. 이민 2세대의 삶과 방황을 그린 다른 소설들보다 그의 작품이 뛰어난 이유는, 남미의 상처투성이 역사와 변두리 삶에 대한 뛰어난 통찰이, (아이러니컬하게도) 주노 디아스의 걸쭉한 입담과 맞물려 오래도록 여운을 남기기 때문이다. (난 한 번 읽고 아쉬워서 바로 한 번을 더 읽었다.) 

끝으로, 내가 가장 좋아하는 [피에스타, 1980]의 한 대목이다.
'피에스타'는 축제라는 뜻의 스페인어인데, 유니오르의 가족이 모두 미국으로 이민 온 후, 이모네까지 미국으로 이주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 축하파티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유니오르는 이상하게 아빠의 밴에만 타면 심한 멀미로 구토를 해 아빠의 차를 망친다. 이 때문에 아빠와 크고 작은 갈등이 생기는데. 

내가 좋아하는 음식은 다 있었다. ...... 내가 음식을 차려놓은 식탁 주변에서 다른 애들 대열에 끼자 아빠가 말했다. 어, 넌 안 돼. 그러면서 내 손에서 종이접시를 뺏어갔다. 아빠의 손길은 부드럽지 않았다.
왜 그래요? 이모가 따지면서 내게 다른 접시를 건넸다.
걘 안 먹어. 아빠가 말했다. 엄마는 라파 형에서 페르닐을 썰어주는 척했다.
왜 먹으면 안 돼요?
내가 안 된다고 했으니까.
....
뭐라도 먹었다간 얻어터질 줄 알아. 알아들어?
.....
아이들은 내가 거실로 가서 텔레비전 앞에 앉는 걸 죽 지켜보았다.
너희 아빠 왜 저래? 레티가 물었다.
등신이라 그래. 내가 대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라운
주노 디아스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오스카 와오'를 만났을 때 만큼의 충격과 감동!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주노 디아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고난의 역사, 삶의 비밀, 가족애...소외 계층을 향한 따스한 시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