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에 한 번은 읽어야 할 법구경 ㅣ 옛글의 향기 11
법구 엮음, 최상용 옮김 / 일상이상 / 2025년 3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인생에 한 번은 읽어야 할 법구경
법구, 최상용 (옮긴이) 일상이상 2025-03
법구경은 부처님의 좋은 말씀을 모아놓은 명심보감같은 가벼운 느낌의 책이라 생각했습니다. 의외로 깊이 깊숙이 들어가는 경전입니다. 부처님 열반후 300년이 지난 후에 법구스님이 엮었다고 합니다. 인도, 빨리어 원전이 8종이 있습니다. 담마빠다, 다르마빠다, 우다나바르가의 이름인데 발견은 상당히 최근입니다. 문헌은 기원후 1500년경입니다. 그전에는 암송으로 내려왔을까요. 대단한 전승입니다.
중국 번역도 3세기-10세기로 4종으로 번역되었습니다.
법구경 : 224년 유기난(維祇難) 등이 번역. 39품.
법구비유경 : 290-306년 사이 법거(法炬)와 법립(法立)이 번역. 42품
출요경 : 383년 축불념(竺佛念)이 번역. 33품
법집요송경 : 산스크리트어 『우다나바르가』 번역으로, 980-999년 천식재(天息災)가 번역. 32품
39품 구성이라 엄청날 것같지만, 각각 20여개의 게송이라 그저 한편에 에세이를 읽는다고 생각하면 수월하게 읽힙니다.
1 무상품(無常品, 21게) 인생무상이죠. 그릇, 강물, 목숨, 재산, 영화, 복록, 심지어 재앙까지 모두 변합니다. 영원한 것은 없고 오직 올바른 도만이 참된 것입니다.
2 교학품(教學品, 29게) 수행으로 밝음을 배우고 깨닫게 합니다. 빈 들파의 코끼리처럼 홀로 가라고 합니다. (如空野象) 멋진 말입니다.
3 다문품(多聞品, 19게) 많이 듣고 배워 도를 이루어 깨달음에 이릅니다. 교만하면 장님이 등불을 든 것과 같아 남들에게 밝히지만 자신을 밝히지 못합니다. 살면서 이런 경험이 많이 있지요. 말은 그럴싸하지만 정작 그대로 하지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지혜로우려면 자신을 낮추고 듣고 배워야합니다.
4 독신품(篤信品, 18게) 인연에 따라 바르게 보라고 합니다. 믿음, 부끄러움, 계율(信懺戒)이 마음의 보배라고 합니다. 우리에게 7가지 재물이 있는데 믿음, 계율, 부끄러움, 창피함, 들음, 보시, 지혜입니다. 남녀를 불문하고 이 재물을 가지고 있답니다.
5 계신품(誡慎品, 16게) 선한 도리를 받들고 사악하고 그릇된 것을 금제하여 후회가 없도록 합니다. 무회(無悔)입니다. 주역의 이치가 여기에도 나옵니다.
6 유념품(惟念品, 12게) 안반을 행하며 사유하면 도의 기강(道紀)을 깨닫는다. 이거 멋집니다. 안반수의, 알아차림이 여기 있었네요.
出息入息念 具滿諦思惟 從初景通利 安汝佛所說
출식입식념 구만체사유 종초경통리 안여불소설
내쉬는 숨과 들이쉬는 숨길을 내밀하게 수식관을 하며 생각하십시오. 복부에 숨이 가득 차면 살피고 사유하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면밀하게 소통하다 보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있는 것과 같이 마음이 편안해진답니다.
50-51p, 유념품
(20자를 멋지게 번역합니다)
7 자인품(慈仁品: 19게) 성인이 밟아온 덕망은 넓어 한량이 없다. 자인품은 바로 대인입니다. 慈仁, 좋은 말씀입니다.
8 언어품(言語品, 12게) 언어는 도리에 맞고 이치에 타당해야 합니다.
9 쌍요품(雙要品, 22게) 서로 짝을 지어 이치를 드러내고 한쪽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이승에서 근심이 생기면 저승에서도 걱정하게 된다.
이승에서 기쁨이 생기면 저승에서도 기뻐하게 된다.
이승에서 후회하면 저승에서도 후회하게 된다.
10 방일품(放逸品, 20게) 올바른 도로 어질게 살아갈 것을 권합니다.
11 심의품(心意品, 12게) 마음은 이 세상의 모든 것을 만들어내면서도 다함이 없습니다.
12 화향품(華香品, 17게) 꽃을 피워 열매를 맺는 것을 보는 것처럼 거짓을 진실로 되돌려야 한다. 꽃과 향의 가르침인데 무슨 거짓을 되돌리는 건가 이상했습니다.
如蜂集華 不曉色香 但取味去 仁入聚然
여봉집화 불효색향 단취미거 인입취연
꽃들에 날이든 벌이 꽃과 향기를 어지럽히지 않고 꿀만 먹고 날아가는 것처럼, 어진 사람은 마을에 들어가서도 그렇게 한답니다.
89p, 화향품
집착하지 말라는 가르침입니다. 필요한 일만 하고 욕심, 욕망을 내지 않습니다.
13 우암품(愚闇品, 21게) 어리석음과 밝음을 알려줍니다. 잠 못 이루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지치고 피곤한 사람에게 길은 더욱 멀다고 합니다.
14 명철품(明哲品, 17게) 지혜로움을 받들어 수행하는 사람은 정법을 자신을 비추는 맑은 거울로 삼습니다.
15 나한품(羅漢品, 11게) 진리를 깨달은 사람은 욕심을 버리고 집착하지도 않으니 마음이 흔들리지 않습니다. 아라한의 경지입니다.
16 술천품(述千品, 16게) 천마디를 외워도 잡념을 없애는 한마디가 낫습니다.
17 악행품(惡行品, 22게) 악인과 결별해야 근심걱정이 사라집니다. 앗. 그렇다면 근심걱정이 있으면 주변에 약인이 있는건가요.
18 도장품(刀杖品, 14게) 도장, 칼과 몽둥이를 쓰지 말라고 합니다. 그 시절에는 뭉둥이로 때렸나보죠. 무서운 말이 나옵니다.
雖倮剪髮 長服草衣 沐浴踞石 奈癡結何
수라전발 장복초의 목욕거석 내치결하
비록 세속의 옷을 벗고 머리 깎고서 풀로 지은 옷을 길게 드리워 입고, 머리 감고 몸을 씻고서 반석에 앉은들 어리석음으로 인해 맺힌 번뇌는 어찌한단 말인가?
128p, 도장품
겉으로는 아무리 좋게 보여도 내면이 중요합니다.
19 노모품(老耗品, 14게) 힘써라, 노력하라. 늙어 후회하지 말아라.
20 애신품(愛身品, 13게) 애신, 자신을 사랑하는 것은 배움으로 자신을 유익하게 하는 것인데 멸죄흥복입니다. 죄업을 없애고 복덕을 일으킵니다.
21 세속품(世俗品, 14게) 세상은 허깨비나 꿈과도 같으니 (世幻夢) 도를 닦아야 합니다.
22 술불품(述佛品, 21게) 부처님의 신묘한 덕은 세상을 이롭게 하고 밝은 덕은 세상의 법칙이 된니다. 공부하는 방법과 길을 알려줍니다.
23 안녕품(安寧品, 14게) 내 삶이 이미 평안하면 원망도, 분노도, 질병도, 우울함도, 욕심도 문제없습니다.
24 호희품(好喜品, 12게) 기쁨도 욕심도 적당히 합니다. 애욕, 걱정, 미움, 두려움, 탐욕을 피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알려주지만 할 수가 없습니다)
25 분노품(忿怒品, 26게) 분노하면 해를 입고 자애로우면 하늘도 돕습니다. 지당한 말씀입니다.
26 진구품(塵垢品, 19게) 맑고 탁한 것을 분별합니다. 맑고 명백한 것은 배우고, 더럽고 욕된 것은 행하지 않아야 합니다.
27 봉지품(奉持品, 17게) 탐욕과 사치는 부리지 말아야 합니다.
나이가 많고 어리석은 이를 늙은이라 말합니다. 명원청결해야 장로입니다.
머리를 깎았지만 탐취하면 범부이고, 식심멸의해야 수행자입니다.
28 도행품(道行品, 28게) 중생을 제도하여 번뇌와 미망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팔정도, 사성제를 행하고 탐진치를 없애야 합니다.
三念可念善 三亦難不善 從念而有行 滅之爲正斷
세 번 생각해야 선행을 생각할 수 있으며 세 번 다시 생각하면 선행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생각에 따라 행하게 되니 번뇌를 없애고 바르게 끊어내야 한답니다.
195p, 도행품.
무작정 선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세 번 생각해야 선행을 할 수 있습니다. 깊이있는 말입니다.
29 광연품(廣衍品, 14게) 선과 악은 작은 것이 쌓여 크게 됩니다.
30 지옥품(地獄品, 16게) 악행을 지으면 과보를 받고 죄업에 이끌립니다.
31 상유품(象喻品, 18게) 선을 행하면 복된 과보를 받고 사람들을 즐겁게 합니다. 왜 상유품일까 했더니 코끼리에 비유합니다.
32 애욕품(愛欲品, 33게) 천함, 음욕, 은정, 애정으로 사람들이 다투기 때문에 재앙과 해악이 생깁니다.
33 이양품(利養品, 20게) 탐욕을 방지하고 덕을 보고 의롭게 생각하여 삶을 더립히지 않아야 합니다.
파초는 열매를 맺음으로써 죽고 대나무, 갈대도 열매를 맺으면 죽습니다. 버새는 새끼를 배면 앉아서 죽는답니다. 사람은 탐욕 때문에 스스로를 잃게 됩니다. (225p)
34 사문품(沙門品, 32게) 사문이 지켜야할 일을 설명합니다. 오욕(식, 색, 수면, 명예, 재물)을 버리고 오혹(탐진치만의,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고 교만하고, 의심하는)을 끊고 오근(안이비설신)을 생각하여 살펴야 합니다. 참으로 하나도 제대로 다스리기 힘든 건데 이를 한번에 해결합니다.
이 15가지를 분별한다면 생사의 강물과 연못을 건널 수 있습니다. 호오. 사후에 강과 연못이 있나봅니다. (河淵)
35 범지품(梵志品, 40게) 애욕, 사랑과 욕망이 없는 범천의 세계에서 존재하는 모든 것이 없어지는 것을 아는 이가 범지랍니다. 범지, 도인, 현자, 대충 이해가 되는데 ‘욕을 먹거나 매질을 당해도 성내지 않고 묵묵히 참아낸다‘고 합니다. 대단한 경지입니다.
36 이원품(泥洹品, 31게) 진흙니, 강이름원이길래 무슨 뜻일까 고민했는데 범어 니르바나의 음역이라고 합니다. 열반으로도 번역되지요. 도교의 상단전에 니환泥丸궁이 있는데 저멀리 깊이 있는 무언가를 의미하나 봅니다.
인내는 최고의 방책이고, 이원은 최고의 경지입니다.
37 생사품(生死品, 18게) 영혼은 행함에 따라 바뀌어 태어납니다. 사대, 사음, 십팔정, 십이연기가 나옵니다. 이런 어려운 개념들이 초기에 이미 완성되었나 봅니다. 제일 궁금한 부분은 其情十八種인데 열여덞개가 뭔가 모르겠습니다. 또 영혼이 머무는 곳이 아홉곳(九處)이 있습니다. 9차크라일까요.
38 도리품(道利品, 20게) 임금, 부모, 스승. 앞서간 자들은 선한 도를 보여주면서 올바르게 이끌어야 합니다.
39 길상품(吉祥品, 18게) 길상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정법을 즐겁게 맏는 것이 길상이라고 알려줍니다.
법구경이라고 짧은 문구로만 나열되어 있어 도덕책이냐고 우습게 알았는데, 전혀 아닙니다. 한줄한줄 되새기면서 읽을 내용이 가득합니다. 번역, 한문, 독음이 한눈에 보이게 편집하여 더욱 좋습니다. 저자의 번역실력이 여실히 들어납니다. 한자는 4글자 * 4 =16자 (혹은 5 * 4로 20자) 뿐인데, 서너줄로 풀이합니다. 저도 대충 이해하려고 한문구절을 읽어보는데 아! 이걸 이렇게 번역했구나 하고 계속 감탄하게 됩니다. 참 좋은 경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