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수련 마음 단단 - 검도 인생 20년 차, 죽도를 죽도록 휘두르며 깨달은 것들
이소 지음 / 카시오페아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으로부터 27년전인 1995년에 방영된 드라마 '모래시계' 는 여전히 회자되고 있는 90년대 최고의 드라마이다. 드라마를 본방사수하기 위해 일찍 집에 들어간다고하여 귀가시계라고 할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았는데, 지금 다시 한번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는 배우 이정재씨가 뒤에서 묵묵히 여주인공을 지켜주는 보디가드로 나왔다. 

극 중에서 이정재 배우가 보였던 검도 액션 때문에 때 아니게 검도장이 호황을 누렸다는 소리가 있을 정도로 '검도' 에 대한 관심도 높았던 걸로 기억한다. 안타깝게도 우리집 부근에는 태권도장들만 있어서 검도장 찾기가 어려웠다. 물론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이것이 내가 태어나서 처음 접한 '검도'에 관한 추억이다.


내가 읽은 '매일 수련 마음 단단' 이라는 책은 검도를 통해 일상의 많은 부분이 바뀐 콘텐츠 제작 프리랜서이자 생활 검도인인 저자가 쓴 생활밀착형 에세이다. 검도 용어나 예법, 기술 등을 기술하거나 대회에 나가 상을 거머쥐었다는 식의 무용담 대신 프롤로그 글에 적힌 것처럼 스스로 볼품없다고 생각해온 한 사람이 검도를 통해 차근차근 생각과 마음 그릇을 넓혀온 과정들에 대해서 담담하게 적어놓고 있다. 180여페이지 정도의 책이라 부담감없이 읽히며 중간 중간 저자가 직접 그린 그림도 함께 할 수 있다.


차례는 '장' 이나 'PART' 가 아닌 입문, 응용, 실전, 종합으로 마치 한 권으로 끝내는 수준별 학습서 느낌으로 구성된 점이 독특하다. 별 기대없이 시작했던 취미생활이 이제는 검도 인생 20년차 4단 사범이 되었고, 검도를 수련하는 과정을 통해 기쁨과 슬픔을 느끼며, 더 나아가기 위해 지금 좋아하는 것을 더 오랫동안 좋아하기 위해 매일 수련하면서 마음을 단단하게 먹고 있는 듯 했다. 


'회사에 있는 동안 '직장인인 나' 를 연기해야 한다. 그게 나에겐 버겁다. 하지만 도장에서는 어떤 역할을 잘해내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하루 중 조금이라도 나 다울 수 있는 시간이 바로 그때다. 퇴근 후 도장으로 기어코 달려가 땀을 쏟아낸 건 시간의 길고 짧음보다 나일 수 있는 시간 자체를 지키고 싶어서, 그 마음에 충실해지고 싶어서였는지도 모르겠다.' p.44~45


'죽도로 흠씬 두들겨 맞는 순간이 와도 마음을 비우고 싶다. 새로운 경험을 하면서 벽처럼 무너진다면 좀 더 회복 탄력성이 생기기를.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 깨지고 또 새로워질 수 있기를. 잘되지 않지만 꼭 잘되는 것만 바랄 필요는 없지 않을까. 부서짐과 단단해짐의 반복, 그 어디쯤에서 일희일비하지 않는 단단한 마음을 얻을지 모르니까.' p.112


검도라는 매개체를 통해 완성형이 아닌 되어가는 사람(아마도 진행형이겠지) 으로써의 자신의 그릇을 확장해가는 모습이 내심 부럽기도 했다. 내가 좋아하는 그 무언가를 위해 저렇게 꾸준할 수 있는 마음 근육을 한 번 키워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