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이자, 이미 10년전에 초판으로 되어 많은 사랑을 받았던 소설 '난설헌' 을 '15만 부 돌파기념' 이라는 이름으로 리커버 에디션으로 만나볼 수 있었다. 그동안은 사실 에세이나 자기계발서, 경영서적 등만 읽고 서평을 남기곤 했는데, 소설을 읽고 처음 쓰는 서평이라 낯설게 느껴지긴 하다.

 

허난설헌 하면 익히 알고 있는 지식은 조선시대 여류시인이자, '홍길동전' 으로 유명한 허균의 누이 그리고 스물일곱이라는 젊은 나이에 요절한 인물이라는 것이었다. 책 읽기 전에 작년에 관람했던 뮤지컬 '난설' 이 생각이 났다. 조선시대 사회적으로 자유롭지 못했던 여성이었지만 스스로 ‘난설헌’이라는 호를 짓고 역사에 이름을 남긴 시인 허초희의 삶을 다뤘던 내용이었는데, 허난설헌의 시 세계를 국악과 피아노가 어우러진 음악으로 만나볼 수가 있었다.

 

소설에서는 8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광한전백옥루상량문' 이라는 시를 지어 일찍부터 신동 소리를 듣고, 여자들은 이름을 갖지 못했던 시절에도 ‘초희’라는 이름을 얻었고, 허봉의 소개로 동생 허균과 함께 손곡 이달 선생에게 글을 배우기도 했던 난설헌의 이야기를 읽어볼 수 있다.
그리고 김성립과의 혼인으로부터 시작된 불행의 시작은 책을 읽는 동안 계속 안타깝게 느껴졌다. 난설헌의 재능을 품을 그릇이 되지 못함을 느끼게 되고, 시어머니와의 갈등은 그 답답함을 최고조로 만들었다.

 

읽으면서, 과연 난설헌이 '조선시대가 아닌 현대에 태어난 사람이었다면', '여자가 아닌 남자였다면' 이라는 부호가 계속 붙었다. 가부장적인 조선 사회에서 재능을 펼치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얼마나 한탄하고 한탄했을 까 하는 생각이 겹쳐졌다. 해피엔딩은 아니라, 다소 마음은 무거운 마음으로 책장을 덮었지만, 굳게 닫힌 세상의 문을 오직 붓 하나로 열고자 한 천재 시인의 이야기를 섬세한 소설로 만나볼 수 있어서 반가웠다. 중간 중간 모르는 우리나라 말도 나와서 그냥 넘어가지 않고 찾아보면서 뜻을 알아보는 재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