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에나 있는 서점 어디에도 없는 서점 - 대형 서점 부럽지 않은 경주의 동네 책방 ‘어서어서’ 이야기
양상규 지음 / 블랙피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적 엄마와 함께 서점가는 것은 내가 좋아하는 일 중에 하나였다. 책을 좋아하셨던 엄마는 틈날 때마다 동생과 나를 데리고 가서 책을 사주셨다. 그 자주 가던 동네 문고 앞은 항상 학창시절 친구들과의 약속장소였다. 하지만 언제 그랬냐는 듯이 그 서점을 비롯한 동네의 여러 서점이 문을 닫았다. 시간이 흐른 후 내가 접하는 서점은 이름있는 큰 서점과 인터넷 서점일 뿐이다.
 
추억을 곱씹을즈음 읽은 '어디에나 있는 서점 어디에도 없는 서점' 은 왠지 모르게 친근하게 느껴졌다. 우선 이름이 눈에 쏙 들어올 듯 하다. 한번 들으면 잊혀지지 않을 만큼 훌륭한 네이밍이랄까. 저자는 경주 토박이로 마을금고, 식당 운영 등 다양한 직업 체험을 통해 지금의 서점을 운영하게 되었다고 한다. 책이 없어서 못 팔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기에, 다른 곳에서도 벤치마킹할 정도의 위치에 서 있는 듯 했다.

재고를 구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뛰어다니고,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한달에 3일을 제외하고는 꼭 문을 열고, 또 필요한 공지가 있으면 SNS을 통해 소통하고, 마스코트가 된 약봉투로 된 책봉투나 책방 안 곳곳이 묻어나는 신경 쓴 인테리어 등 책을 통해 저자가 책방을 자기처럼 아끼고 있음을 고스란히 느낄 수가 있었다.

 

또 가장 중요하게 말한 '본질에 충실하기'. 가게의 생존을 결정짓는 것이 바로 본질이라는 것에 동감한다. 책방으로써의 본질을 다하기에 황리단길을 지키는 사랑받는 책방이 된 것이 아닐 까 생각이 들었다. 하나의 서점이 지역을 넘어 하나의 브랜드가 되고 그와 더불어 사람들과 문화를 나누는 과정이 혹시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염두해둘 필요가 있을 듯 했다.

 

20여년 전 수학여행으로 가본 경주, 지금쯤은 많이 달라져있을 듯 하다. 날씨 좋은 요즘, 시간을 내어 경주의 옛스러움을 만끽하러 여행을 떠나봐야겠다. 아, 물론 '어서어서' 에 들러 책으로 읽었던 그 곳만의 감성을 느낄 수 있길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