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존재 방식과 사고 방식에서의 동서양 차이를 설명하는우리의 이론은 그동안 교육학자, 역사학자, 과학철학자, 심리학자들에게 수수께끼와 같았던 다음과 같은 많은 의문점들에 답을 제시해줄 수 있게 되었다.
/ 과학과 수학
왜 *고대 중국에서는 *연산과 *대수학은 발달했지만 *기하학은 발달하지 못했을까? 어떻게 고대 그리스는 기하학에서 눈부신 진보를 보였을까?
*현대의 동양인들이 서양인들보다 수학과 과학을 잘하는데도 불구하고, 그 분야에서의 *최첨단 발전은 왜 *서양에서 더 두드러질까? - P19
/ 주의 과정과 지각 과정
왜 *동양인들은 서양인들보다 *사건들 간의 *관련성을 잘 파악하는 것일까?
반대로 *주변 환경에서 *개별 사물을 분리하는 과제에서는 왜 *동양인들이 *서양인들보다 더 어려워할까? - P19
/ 인과적 추리
왜 *서양인들은 사람의 *행동을 설명할 때 *상황적인 요인은 무시하고 그 사람의 *내부 특성만을 강조할까?
왜 동양인들은어떤 일이 발생하고 나면 내가 처음부터 그럴 줄 알았지‘ 라는 *후견 지명 효과를 강하게 보일까?
/ 지식의 조직화
왜 *서양의 유아들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더 빠른 속도로 배울까? 그 반대로 왜 동양의 유아들은 명사보다는 *동사를 더 빨리 배울까?
/ 추론 과정
왜 *서양인들은 일상적인 문제를 해결할 때에도 형식논리를 자주 사용할까? 왜 *동양인들은 명백하게 *모순되어 보이는 두주장들을 동시에 받아들일까?
동양인들과 서양인들이 각각 특징적으로 범하는 *추론의 실수는 무엇일까? - P20
*동양과 서양의 *사고에 존재하는 이렇듯 *큰 차이의 **기원은 무엇일까?
*생물학적 요인일까, 그것도 아니면 *언어의 차이일까? *경제구조의 차이일까 아니면 *사회 구조의 차이일까? 그것도 아니라면 *교육의 차이일까? 이러한 차이들은 *수백 년 후에는 어떻게 될까?
동양과 서양이 여러 분야에서 나타내는 차이는 항상성‘을 가지고 있다. 즉,* 특정한 *사회적 행위들은 *특정한 **세계관을 가져오고, 그 세계관은 *특정한 **사고 과정을 유발하며, 그 사고 과정은 역으로 원래의 *사회적 행위들과 *세계관을 다시 *강화시킨다.
이런 항상성을 이해하는 것은 인간 사고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주어진 사회적 조건에서 *어떻게 사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어떤 사고 방식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를 논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P20
*많은 *동양인들은 *지난 500년 동안 *서양이 군사적·정치적·경제적 우위를 배경으로 *지적인 독선과 *오만에 빠져 있었다고 지적한다. 타당한 지적이다.
이제 이 책을 읽은 서양의 독자들은 세상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자신의 방법과는 다른 또 하나의 타당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해 스스로의 접근법을 점검하고 겸손해질 수 있을 것이다. - P20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 가지 밝혀둘 점이 있다. 이 책에서 *‘동양‘ 이라 함은 *‘동아시아‘, 즉 *중국과 중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문화, 대표적으로 *한국과 일본을 주로 칭한다.
또한 *‘서양인‘은 주로 *‘유럽 문화권의 사람들을 칭하고, 유럽계 미국인은 *미국 내에서 *동양계가 아닌 모든 인종, 즉 *백인, 흑인, 라틴아메리카계를 포함한다.
미국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인종을 하나로 묶어서 취급하는 이유는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이라면 누구나유사한 문화적 영향 하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이 모두동일하게 미국적이라는 것은 아니다. 동양계 미국인들의 경우에는다른 인종들과 함께 미국인으로 간주될 수도 있지만 우리가 수행한 몇몇 연구들에서 그들은 미국인보다는 동양인과 더 유사한 사고 방식을 나타냈다. - P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