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인간관계가 거대한 *네트워크라면 우리 *사회는 어떻게 얽혀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해, ‘인간 사회라는 그물망은 *인간의 사고, 의사 결정,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인간 사회 *네트워크의 *특성은 *인간관계를 *어떻게 *바꾸어놓는가?’라는 흥미로운 질문에 답을 한다. - P7
인간 개인의 마음이라는 심연을 품은 거대한 사회 네트워크에 대해 통찰을 얻고 싶은 분들께 이 책을 곁에 두고 종종 읽어보시길 강하게 추천드린다. - P7
*우리 세계는 *점점 더 *연결되고 있지만 *동시에 극명히 *분열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예전보다 더 많은 사람과 소통할 수 있지만,
*매우 **비슷한 사람 - 나이, 부, 교육 수준, 젠더는 물론 *신념이나 의견이 비슷한 사람들-과 *어울리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자신과 비슷한 사람과 교류하려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성향을 더욱 강화한다. 이러한 성향은 *’동종선호’로 알려져 있으며, 이 책의 많은 부분에서 주역을 맡고 있다.
**네트워크의 *분열은 *인간이 학습하는 방식에서 생기는 *편향을 더욱 *악화시킨다.
네트워크가 더 많이 *분열될수록 이러한 *편향은 *증폭된다.
우리는 *친구와 지신이 *인반 대중을 *대표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시스템적인 차원에서 보통의 사람들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편향들로 인해 우리는 자신의 *믿음을 강하게 확신하며, 설령 그것이 *틀린 믿음일 때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자 한다.
*네트워크의 분열은 *한국을 비롯한 *다른 많은 나라가 겪고 있는 *높은 수준의 **불평등에도 영향을 끼친다.
*불평등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성공의 기회는 물론, **어떻게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네트워크에 분열이 있다는 사실은 그러한 *기회와 *정보가 **불균형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뜻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그 결과로 *매우 위험한 *불평등과 *비유동성의 결합이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의 **성공 여부가 **가족과 친구 그리고 우리가 *속한 **공동체에 강하게 의존하게 된다는 말이다. - P10
마지막으로 사람들의 **의견이나 *신념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직장을 구하거나* 승진의 기회를 찾을 때 **네트워크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여러분은 *앞으로 우리 *세상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어떤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지에 대해서도 *더 깊이 고민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을 읽고난 뒤 여러분은 개인적 차원에서 이전에 갖고 있던 통념들에 의심을 품고 일차 자료를 찾아보게 될 것이다. - P10
또한 *새로운 분야로 진출해 *새로운 친구를 사귈 필요성을 느낄 것이고 예전이라면 결코 만나지 않았을 사람들과 어울리는 불편한 상황에서도 *서슴치 않고 관계를 맺고자 할 것이다.
더 넓은 차원에서 여러분은 단순히 *부를 재분배하고 *가난한 사람을 돕는 것만으로는 *불평등과 *비유동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걸 배우게 될 것이다.
높은 수준의 *불평등이 *지속되는 현상은 우리의 *사회적 구조에 *심층적인 문제가 있다는 징후다.
이에 대한 *장기적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기회나 **정보를 얻기 어려운 **사회 계층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