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작은 섬 비룡소의 그림동화 301
바버러 쿠니 글 그림, 이상희 옮김 / 비룡소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바라 쿠니의 『나의 작은 섬(이상희 옮김/비룡소)2021』은 작가 자신이 가장 아낀다고 말했던 1988년 작품이다. 화가였던 어머니의 영향을 받았던 바바라 쿠니는 어릴때부터 그림을 그렸고 대학에서 회화와 판화를 공부한 이후 평생 100여권의 책을 그렸다. “어른과 아이 모두를 감동시키는, 더 이상 아름답고 조화로운 그림책은 상상하기 어렵다”(출판사인용)는 평을 듣는 작가는 1959년 『챈티클리어와 여우』로, 1979년에 『달구지를 끌고』로 칼데콧 상을 두 번 수상했으며 『미스 럼피우스』는 전미도서상을 받는다. 표지는 푸른 빛이 감돈다. 바다와 하늘이 맞닿는 곳 멀리 보이는 섬이 바로 제목인 『나의 작은 섬』이고 작품의 주요 무대일 것이다. 좌우로 책을 펼치면 바다의 시원한 풍광이 눈에 들어온다. 작은 새를 안고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소년에게서 소중한 것을 소개하는 듯한 자부심이 비친다. 앞 뒤면지는 동일한 지도로 채워져 있는데 “모기곶”, “손도끼만”, “숫양섬”, “할머니 언덕”, “할아버지 암초”등 독특한 지명은 소년의 작품은 아닐까 짐작케 한다. 타이틀 표지에서 작은 섬은 조금 더 다가와 중앙에 자리하고 제목 역시 가운데에서 시선을 붙잡으며 독자를 한 발 더 가까이 이끈다.

“처음에 그 섬은 그저 그랬어요.”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아빠는 항구 마을을 떠나 외딴섬에서 샘을 파고 집을 지은 후 아내와 세 아이들과 암소를 데려온다. 이후 섬은 가족의 성을 따 “티베츠 섬”이라고 불린다. 시간이 흘러 남자아이 여섯, 여자아이 여섯, 모두 열 두명의 아이들은 부모님께 배우고 익히며 놀고 성장한다. 작고 어려서 도움이 안된다는 형들 이야기에 막내 마타이스는 엄마가 심은 언덕 위 사과나무 아래서 “나는 왜 작을까?” 생각하지만 곧 자라서 형들과 함께 삼촌 배의 선원으로 항해한다. 이후 선장이 되었지만 멋진 도시에서도 마타이스는 섬을 잊지 못하고 돌아갈 결심을 한다. 티베츠 섬에 다시 정착한 마타이스는 커서 멋진 선장이 되겠다는 손자, 꼬마 마타이스에게 말한다. “만 너머 바깥세상을 보는 건 좋은 일이지. 그러면 네 마음이 어디에 놓여 있는지 알게 될 거야.”라고. 자신에게 허락된 마지막 순간까지 마타이스는 묵묵히 움직이고 사람들 마음 속에서 언제까지나 잘 사셨던 좋은 분으로 남는다.

바바라 쿠니는 자신이 가장 사랑했던 곳인 미국의 메인주를 배경이면서 동시에 또 하나의 주인공으로 삼아 마타이스 티베츠의 부모님으로부터 꼬마 마타이스까지 4대에 걸친 연대기를 완성한다. 집에서 가장 “작은 아이”였던 마타이스가 “티베츠 섬의 꿋꿋한 노인”이 되기까지의 시간은 고유하면서도 단절되지 않고 이어져가는 유산이 된다. 소중한 것을 잊지 않고 지켜냈던 마타이스의 선택들과 정직한 손의 수고는 매일의 감사와 만족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잔잔하면서도 뭉클한 감동은 섬세하게 빛나는 그림을 통해 배가된다. 작가가 새들이 쉬는 바위나 묘목 곁의 홍합 껍질 처럼 아주 작은 것들까지, 그곳의 모든 것을 사랑했다는 딸, 바바라 포터의 후기를 읽고 나면 바위나 틈새 한 군데조차 허투루 볼 수 없다. 빼곡이 스친 붓을 따라가며 변주되는 바다 색처럼 초첨을 정해 감상하게 된다면 『나의 작은 섬』 읽기는 수없이 반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나온 역사의 한 페이지를 간직하는 기록물로써의 가치도 지닌다. 다만 역동적인 영상물에 익숙한 어린 독자에게는 자칫 비교적 많은 텍스트 분량과 평명적인 그림이 몰입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다르게 읽힐 책임은 분명하기에 그림책 대가의 기념비적인 마지막 작품이 전하는 감동을 놓치지 않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