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주에서 가장 똑똑한 고양이 아스트로캣의 물리학 여행 ㅣ 우주에서 가장 똑똑한 고양이 아스트로캣
도미니크 월리먼 지음, 이충호 옮김, 벤 뉴먼 그림 / 길벗어린이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처음 책을 휘리릭 넘겨 보았을 때 일러스트가 화려해서 매우 감각적인 책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두 번째 펼칠 때 대충 빠르게 한 장씩 넘겨 보았는데, 화려한 일러스트가 오히려 어수선해 보였고 작은 글씨는 어려울 것 같다는 인상을 주었다. 하지만, 세 번째 정독을 해서 보았을 때는 앞선 느낌이 편견이었음을 확인했다. 한 장 한 장 자세히 보면 글과 그림이 매우 질서 있고 조화롭게 구성되었다는 걸 바로 알게 되기 때문이다.
이상한 숫자와 기호들이 난무하는 학문을 개인적으로 싫어하는 데 물리학이 그 중 한 영역이다. 그래서 학창시절 수학, 과학 시간들을 엄청 싫어했다. 그러나, 이러한 학문들이 가장 중요한 과목이어서 절대 소홀히 해서는 안 될 영역들이기도 하기에 고민이다. 초2 아들녀석은 다행히 수학을 좋아하고 숫자 감각도 빨라서 감사하지만, 앞으로 닥칠? 어마무시한 수학, 과학의 영역을 녀석이 어떻게 헤쳐나갈지 걱정되기 때문이다.
이런 걱정을 하는 내 눈에 띈 책이 <우주에서 가장 똑똑한 고양이 아스트로캣의 물리학 여행>이다. 여행은 휴식과 즐거움을 찾기 위해 하는 건데, 이 재미없고 어려운 물리학의 세계를 어떻게 '여행'이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는지 의아했다. 개성있는 일러스트와 물리학 여행이라는 조합이 매우 신선한 책이었다. 어렵고 복잡한 물리학이 아스트로캣과 만나면 정말 쉽고 재미있을까? 우주에서 가장 똑똑한 고양이라고 하니까 믿어볼까? 하는 의구심도 들었고, 아들녀석이 아스트로캣을 만나서 물리학의 세계를 정말로 즐겁게 여행했으면 좋겠다는 바램도 간절하게 드는 책이었다.
학창시절 나에게는 어려웠던 물리학이 아들녀석에게는 재미있는 물리학이 되었으면 하는 대놓고 사심 드러내며 녀석에게 디밀었다. "우와~이 책 진짜 예쁘다! 우와~고양이가 우주에서 가장 똑똑하데! 얼마나 똑똑하지 너도 한 번 볼래?" 라면서 말이다.
일단, 깔끔하고 세련된 일러스트에 녀석의 눈길을 잡는데 성공~!
녀석은 호기심을 갖고 책을 보기 시작했다. 그러나 조금 읽고는 "엄마, 글씨가 너무 작아요~!"라며 책을 덮는다 ㅜㅜ
짜슥, 진지하게 앉아서 보면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는데..ㅜㅜ
초2 아들에게 작은 글씨는 넘기 어려운 엄청난 장벽인듯 하다.
작은 글씨가 넘사벽일거라고는 생각지도 못했지만, 녀석이 3학년 중반쯤 되면 이 책을 완전 사랑해 줄거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 솔직히 물리학을 아무리 쉽게 설명해도 물리학이기 때문에 초2가 보기에는 조금 무리인 듯 하다. 그러나, 과학을 좋아하고, 책을 좋아하는 아이라면 초등 저학년이라도 잘 읽을 수 있는 책이다. 그만큼 알기 쉽게 되어있기 때문이다. 뻔한 물리학을 매우 개성있고, 활기차게 보여준다. 밝은 칼라와 개성있는 그래픽은 정보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매우 탁월한 비쥬얼의 책이다.
주인공 아스트로캣은 위트, 지식, 쎈스, 부드러움을 갖춘 매우 매력적인 캐릭터이다. 평범한 고양이 아스트로캣이 저명한 물리학 박사와 유명한 일러스트레이터를 만나서 멋진 캐릭터로 탄생했다. 아스트로캣은 저자를 대신해서 물리학을 간결하고 위트있게 독자에게 전하고 있다. 이 책을 다 읽으면 물리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쉽게 정복하여 학업에 도움이 많이 될 듯하다.
먼저, 하늘은 왜 파랄까?, 전기는 어디서 올까?, 배는 어떻게 물 위에 뜰까?, 우리는 어떻게 색을 볼 수 있을까? 등등 평소 궁금했던 호기심으로 이 책은 시작을 한다. 이어서 하나 하나씩 차근 차근 단계를 밟아 가며 호기심을 풀어 간다. 또한, 핵물리학, 입자 물리학, 양자 물리학 등의 생소한 단어들에 개념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기묘한 우주, 수로된 언어, 원자 세계 진실 또는 거짓 등을 통해 물리학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주변 상황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많은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다. 쉽지 않은 물리학을 멋진 비쥬얼로 재미있고 쉽게 전달해 주는 <우주에서 가장 똑똑한 고양이 아스트로캣의 물리학 여행>은 아이들 시선에서 최고의 책이 될 것이다. 뿐만아니라 물리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있는 누구라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212/pimg_762973155154004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212/pimg_762973155154004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212/pimg_762973155154004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212/pimg_762973155154004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