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기체의 비밀을 밝힌 보일 HOW? 위대한 실험관찰 만화
류상하 글, 백원흠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손영운 기획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과학지식 없어도 OK!

만화로 읽으면 과학 원리와 계보가 한 눈에~

 

토리첼리의 진공 실험,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입자설VS연속설 등등..

이 책의 주요 목차들이다. 이 목차들을 보는 순간 학창시절 과학시간이 떠오르면서 머리를 쥐어 뜯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무슨 법칙, 무슨 실험이 그렇게 많은건지 학창시절 나를 괴롭히기 위해 만든 것들 이라고 생각했던 때였다. 원리와 개념도 모른채 시험을 위해 달달 외우려고만 했으니...참 어렵고, 힘들게 공부했던 것 같다.

 

그 때, 와이즈만북스의 <세상을 바꾼 위대한 실험관찰 시리즈 HOW?>를 만났더라면 과학이 그렇게 힘들고, 어렵지 않았을텐데..ㅜㅜ 내가 일찍 태어난건지, HOW?가 늦게 출판 된건지 모르겠지만 학창시절 만나지 못해 너무 아쉽게 만든 <HOW? 기체의 비밀을 밝힌 보일>이다.

 

이 책은 보일을 주인공으로 기체 실험의 계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재미있는 과학 만화이다. 어려운 과학의 원리를 만화형식으로 풀었기에 지루하지 않고, 술술 읽을 수 있다. 초2 아들녀석이 기체의 '기'자도 모르면서 이 책을 완독한 걸 보고 HOW?의 힘이 대단함을 인정했다. 4~5학년이나 되어야 배울 내용인데 녀석이 의도치 않게 '기체'를 자연스럽게 선행학습 한 것이다.

 

녀석이 책을 보다가 갑자기 물어 봤다.

"엄마, 내가 실험해 보고 싶은게 있는데 해도 되요? 그런데, 조금 위험해요" 라고 해서 일단 설명해보라고 했더니, 이 책 135쪽의 '간이 열기구 만들기'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내 생각에 실험 성공하기엔 재료 준비와 만들기가 치밀해야 할 것 같았고, 정말 위험 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안 돼!" 라고 말해 버렸다. 마음은 녀석이 맘껏 실험 하도록 도와주고 싶었지만, 귀찮다는 핑계로 거절한 것이다. 이러면 안돼는데...녀석의 꿈이 과학자인데...엄마가 이러면 안돼는데...자책감이 들었지만...귀찮은 건 정말 어쩔 수가 없다...녀석이 위대한 과학자가 될 수도 있는데 내가 그 씨앗을 밟고 있는 것 같아 미안할 뿐...귀찮은 건 딱 질색~!!

 

여하튼, 녀석이 완독 했다고 해서 이 책을 100프로 이해했다고 생각 안 한다. 아무리 만화라고 해도 과학의 원리나 개념은 어렵다. 솔직히 나도 이해가 잘 가지 않는데 녀석이 이해하길 바라는 건 과한 욕심이겠지...

녀석이 '기체',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등의 개념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했더라도, 이렇게 HOW?를 통해 과학은 위대하고, 신기하고, 흥미로운 학문이란 걸 알려줄 수 있다는 점에 매우 만족스럽다.

 

 

HOW?가 알려준다!

과학은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위대하고, 흥미로운 학문이라고!

 

초2인 녀석은 과학을 매우 좋아한다. 심오한 과학에 발가락도 담가 보지 못했기 때문에 아직은 과학이 마냥 즐거운 녀석이다. 그런데 학년이 올라가면서 나 처럼 과학을 멀리하지는 않을지 앞 일을 미리 걱정하는 소심한 엄마이다.하지만, HOW?를 보고 이젠 사서 걱정 할 필요가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잘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일단, '기체 실험'의 계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가장 뛰어난 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기체'만을 놓고 한 권으로 역사책 보듯 구성한 책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 부터 샤를의 법칙까지 시대순으로 보여주어서, 기체실험의 원리와 개념이 잘 정리되어 탄탄하게 만들어 준다.

 

이 책은 기체실험을 한 여러 과학자들이 나온다. 보일의 법칙을 만들 수 있도록 한 선대 과학자인 갈릴레이, 토리첼리, 게리케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통해 샤를의 법칙을 만든 과학자 까지, 기초실험의 계보를 잘 보여준다.

또한, 과학의 법칙이나 이론 등이 그냥 뚝딱 만들어진 것이 아님을 보여 주어 과학의 위대함에 놀라게 된다. 해당 실험이 나오기 까지의 시대 배경과 선대 과학자와 동료 혹은 라이벌 과학자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이후 어떻게 발전되어 현재에 이르렀는지도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HOW?가 알려준다!

과학자의 길을!​

 

아이의 꿈이 과학자라면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책 속 과학자들을 통해 많은 것을 느끼게 된다. 갈릴레이, 토리첼리, 보일, 샤를 등은 항상 의심하고 또 의심하고 물어 보고 실험하고 확인한다. 그들은 다른 과학자들이 이미 실험을 통해 만든 법칙이나 이론을 다시 한번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했고, 그 이유를 알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기도 하며, 늘 호기심을 갖고 "왜?" 라며 물음표를 던지는 사람들이 었다.

 

이렇게 만화 속 과학자들의 모습은 과학자가 꿈인 아이들에게 훌륭한 롤모델의 역할을 하고 있다. 굳이 과학자가 꿈이 아니더라도 만화 속 과학자들의 모습은 아이들에게 좋은 멘토가 될거라고 생각된다.

 

책 속 내용 중에 게리케 시장이 반구를 이용해서 대기압의 크기를 증명한 실험이 있었는데, 보일이 진공펌프를 만들어 같은 실험을 하려고 하자 그의 누나가 물었다.

"보일, 게리케 시장이 이미 한 실험을 왜 굳이 또 반복하니? 다른 실험을 하는 게 낮지 않아?"

그러자 보일은 대답했다.

"아니, 우린 우리 신조대로 해야지. 눌리스 인 베르바!" 라고..

 

여기서 '눌리스 인 베르바'는 '누구의 말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말라.' 라는 뜻이다. 보일의 이 말이 이 책의 두 번째 주제라고 말하고 싶다. 늘 호기심을 갖고, 의심하며, 물어보고, 확인하는 자세가 바로 이 책의 주인공들인 과학자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어려운 과학을 만화로 흥미를 주고, 보기 좋은 구성으로 잘 편집한 <HOW? 기체의 비밀을 밝힌 보일>은 강추하고 싶은 훌륭한 과학만화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