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생각실험실 : 훈민정음 생각실험실 시리즈 1
송은영 지음, 오승만 그림 / 해나무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라를 사랑하고 백성을 사랑한 진정한 군주

지금의 시국에 더욱 보고 싶은 세종대왕​

 

얼마전에 본 어쩌다 어른의 역사를 읽어주는 남자 설민석 님의 세종대왕 강의는 감동 그 자체 였다. 그냥 한글을 만드신 분, 그냥 만원 지폐에 있는 훌륭한 분이라고만 생각했지 이렇게 위대한 분인 줄 잘 몰랐다는 사실에 대한민국 사람으로서 너무 부끄럽게 만든 강의 였다.

 

요즘 나라가 참 어지럽다. 국민의 잘못 선택이 초래한 결과는 참담하기 이를때가 없다. 믿을 수 있는 지도자가 없고, 희망이 없어 보이는 이런 시국에 설민석 님의 세종대왕 강의가 더욱 생각이 난다. 난세에는 위대한 영웅이 나온 다는데 세종대왕님 같은 분이 언제쯤 나타나실까? 지금같은 난세에 세종대왕님 같은 분이 나와야 할텐데...

 

시국이 이렇게 참혹하다 보니 대한민국의 역사를 거꾸로 되돌리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다. 김구 선생님 같은 훌륭한 분이 왜? 피살 당하셨는지 지금 현재 너무나 안타깝고 안타깝다. 대한민국 역사의 잘못 끼워진 첫 단추는 되돌릴 수 없는 강을 계속 건너고만 있는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세종대왕님의 머릿속으로 들어가서 한글 창제 과정을 함께 하다 보니 한글의 위대함이 새삼 자랑스럽고,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이다. 한글 창제의 숨어 있는 과학적 원리도 놀랍지만, 한글 창제의 이유인 세종대왕님의 애민의 마음은 그 끝을 알 수 없을 만큼 존경스럽고, 또 존경스럽다.

 

저자에 따르면, 세종대왕은 새로 만드는 글자가 소리에 어울리면서도 최대한 단순한 모양을 지녀야 할 뿐 아니라, 자연의 이치와도 어울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글자를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도록 세종대왕은 모든 백성이 글자를 깨우치도록 하기 위해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모든 백성이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밤낮없이 노고하시고 노고하신 결과 이렇게 과학적이고 정교한 한글이 탄생한 것이다.

 

이 책은 한글이 탄생하기 까지의 과정을 세종대왕의 머릿속에 직접 들어가서 본 것처럼 자세히 써내려 갔다. 매일 쓰는 한글이지만 한글이 뚝딱 만들어진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한글 자음, 모음의 탄생에는 소리와 자연의 이치에 맞게 각각의 자음과 모음의 탄생 순서 또한 달랐다.

 

소리의 발성기관에서 ㄱ,ㄴ,ㅁ,ㅅ,ㅇ 이 먼저 탄생했고 이를 기본으로 나머지 자음이 만들어졌다. 자음만으로 글자를 만들기에는 부족했기에, 이어서 자연의 이치에 따라 하늘과 땅과 사람을 본뜬 천지인 ㆍ,ㅡ,ㅣ가 탄생하게 된다. 여기에 이어서 나머지 8개의 모음이 탄생하게 되는데, 하늘을 뜻하는 'ㆍ'가 모음의 으뜸 글자가 되어 자연의 음양과 사람을 더해서 모음이 완성된다.

 

'ㄱ' 이라는 글자 하나를 만들기 위한 세종대왕의 노고를 너무나 잘 느낄 수 있었다. 한 글자가 탄생하기 위해서 생각하고 고치기를 수십 번 한 뒤에야 한 자 한 자가 만들어져 28자가 되었다.

이 책은 세종대왕의 머릿속을 여러번 들여다 보고, 세종대왕의 생각을 파란색 글씨로 달리하여 그 감동을 찐하게 전달하고 있다. 이 책은 학교의 필독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세종대왕의 생각실험실>을 통해 우리 한글과 세종대왕의 위대함을 다시 한 번 느끼고, 백성을 뜨거운 마음으로 사랑하신 세종대왕의 진심을 느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