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을 읽자 아이들을 읽자 - 마음을 여는 그림책 읽기
최은희 지음 / 에듀니티 / 2016년 7월
평점 :
절판


왜? '그림책을 읽자 아이들을 읽자' 일까?

 

"무릎이 닿게 마주 앉아서 그림책을 보며 나는 아이들 속으로 아이들은 내 속으로 걸어 들어온다." 라는 책 표지 한단의 문장을 통해 이 책 제목의 의미가 살짝 짐작이 간다.

저자는 현직 초등학교 교사이며 시인의 꿈을 꾸다가 큰아들 덕분에 우연히 만난 그림책에 홀려 아이들에게 그림책을 읽어주기 시작했다. 그렇게 그림책 매력에 빠져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하며 이 책을 펴내게 된 것이다. 저자는 단지 국어 수업을 즐겁게 하려고 시작한 그림책 수업이었는데, 아이들은 책 속으로 빠져 들어가 자기들이 주인공이 되어 자신들 마음속 이야기를 쏟아내고, 저자는 그림책 한 권으로 아이들 마음 곁으로 조금씩 다가가게 되었다고 한다.

 

 

책 읽을 땐 저자처럼...

 

저자가 아이들과 그림책을 읽을 때는 그냥 읽지 않는다. 먼저 아이들을 사랑으로 포옹하고 마음의 눈으로 바라본다. 그리고 난 후 도움이 필요한 아이, 문제가 있는 아이의 마음을 풀어 주고자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 반 아이들과 함께 그림책을 읽으며 반 전체에 감동을 전한다. 처음에는 그림책 한 권으로 드라마틱한 아이의 변화를 바라지만 ,자신의 허황된 욕심을 깨닫게 된다. 이후 아이들이 그림책을 통해 마음이 조금이라도 치유되고 책 읽는 즐거움을 알게 되고 자신 또한 아이들을 통해 많은 깨달음을 얻게 됨을 감사해한다.

 

나 또한 그림책을 선택할 때 아이에게 교훈을 줄 수 있는 책을 선택하고, 드라마틱한 변신을 바라는 사심 가득 넣어 책을 읽어서 많이 반성하게 되었다. 진심으로 아이의 마음을 읽은 것이 아니라 '나를 따르라~' 라며 혼자 북치고 장구 치면서, 나의 사심과는 다르게 별 감흥이 없는 아이를 볼 때마다 내 속만 부글부글, 죄 없는 녀석만 괜히 혼내는 등 참 어리석었다는 생각 때문이다.

이제라도 나의 사심으로 책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 보고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고자 노력해야 겠다.

 

 

그림책을 통해 조금씩 변하는 아이와 저자

 

저자는 그림책을 선택할 때 마음이 쓰이는 아이를 주인공으로 책을 고른다. 그리고 그 아이를 자신의 무릎에 앉히고 반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는다. 이렇게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이와 가까이 하며 온 마음으로 아이의 마음이, 반 아이들의 마음이 치유되고 친구의 마음을 이해하게 된다.

 

부모님의 맞벌이로 꾀죄죄한 옷차림과 읽기 쓰기가 더디던 고은이는 <강아지똥>을 통해 자신감을 조금씩 찾아 가고, 읽기 쓰기도 노력하는 아이로 바뀌었다.

 

<지각대장 존>은 매일 지각하는 용훈이 때문에 읽게 되었는데, 책 속의 권위적인 선생님 모습에서 자신을 발견하고는 용훈이의 마음은 읽지 않고 꾸짖기만 했던 저자 자신을 반성히가도 한다.

 

겉모습만 보고 똑똑하고 예의 바른 아이라고 생각했던 수정이는 사랑을 독차지 하고 싶은 매우 이기적인 아이였다. 수정이로 인해 마음 아파했던 친구들...저자는 수정이를 무릎에 앉히고 <무지개 물고기>를 읽는다. 수정이가 당장 변하지는 않겠지만 무지개 물고기가 은비늘을 모두 나눠 주고도 행복했던 까닭을 마음으로 느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돼지책>을 읽을 때는 서로 자신의 집안 모습을 이야기하며 진심으로 엄마의 소중함을 깨닫는 과정은 참으로 감동이다.

 

아무 말 없이 교실에 섬처럼 떠 있던 아이 민영이는 저자가 첫 발령 받은 이듬해 만난 아이다. <까마귀 소년>을 읽으며 그 아이 생각이 났는데, 그 아이를 위해 아무것도 해 주지 못한 무능력했던 자신을 반성하기도 한다.

 

저자는 이렇게 아이들과 함께 그림책을 읽었던 현장의 사실들을 모두 기록으로 남겨 독자들에게도 리얼한 감동을 고스란히 전해준다. 또한, 비슷한 주제의 책을 더 소개하여 그림책의 이해를 돕는다.

저자는 주제별로 묶인 그림책 소개시 고정관념을 갖지 말라고 한다. 어른의 시야에서 보는 주제와 아이들이 보는 주제가 다르기도 하고, 그림책은 한 가지 주제만을 이야기 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들과 함께 읽은 책 속의 그림책

 

아기늑대 삼 형제와 못된 돼지-마음의 벽을 허무는 향기

<아기돼지 삼 형제>의 이야기를 다른 관점에서 쓰여진 책으로 저자는 "누군가와 가까워지고 싶다면 솔직하게 마음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것", "남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마음을 잘 드러내는 게 가장 필요하다."라고 하며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일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에게 읽어 준 책이다. 2학년 아들녀석 또한 감정 표현이 서툴러서 말 보다 힘이 먼저 앞 설 때가 있어 같은 심정으로 이 책을 아들과 함께 읽었다. 책 속에서 저자와 함께 읽은 아이들은 여러가지 감정들을 이야기 하는데 아들녀석은 "재미있어요!" 한 마디로 끝이다. 지나라는 아이는 "근데 돼지가 무지 심심한가 봐요. 같이 놀아 줄 친구가 없어서."라며 글을 정확히 이해 했는데...아마도 따돌림 당하던 지나는 돼지가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했을 거라고 저자는 이야기 하며 아이들의 마음을 읽어내고 그림책을 보여 주는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라고 한다.

이와 함께 추천해준 <늑대가 들려주는 아기 돼지 삼 형제 이야기>도 아들과 재미있게 읽었다.

 

으뜸 헤엄이-지혜와 용기가 필요할 때

저자가 말하는 지훈이라는 아이와 아들녀석이 비슷해서 이 책은 특히 관심을 갖고 읽은 책이다. 지훈이는 다른 아이들보다 판단력과 운동신경이 뛰어나고 말도 논리적이며 승부욕도 강하고 눈치도 빨라 미움 받을 행동을 절대 하지 않는 모범생이지만, 아이들끼이 있을 때는 제 맘대로 하려 하는 아이인데 아들녀석과 딱 아들얘기여서 어찌나 반갑던지..(??) 지훈이이게 심리적으로 늘 밀린다는 생각에 지훈이가 한 말은 꼭 고자질을 한 다는데..이 상황도 울 집과 너무 비슷하다..ㅜㅜ 요즘은 부모들이 엄청 예민하다 보니 속상한 경우가 많다. 특히 남자아이들은 코피도 흘리고 싸움도 하면서 크는게 정상인데 사사건건 부모가 개입하여 아이들끼리 해결할 일을 부모가 나서니 이것도 참 문제라고 생각한다.

 

쇠를 먹는 불가사리-창칼 없는 세상을 꿈꾸며

"공부는 깨달음이며, 깨닫는 과정은 자신을 돌아보는 데서 시작된다. 전쟁이나 평화에 대한 공부 역시 그러한 법이다."라고 말하여 "우리 삶 가까운 곳에서 늘 일어나는 작은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된다." 라고 한다. 그래서 이런 그림책을 통해 아이들의 마음을 조금이라 움직인다면 그것이 참된 공부라고 했다.

쇠만 먹어치우는 불가사리 이야기는 아들녀석의 마음 속에도 평화의 중요함을 충분히 느꼈을거라고 생각된다.

 

본 이벤트는 업체에서 제공한 내용으로 작성되었으며 상업적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